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500년 잠든 마갑에 생기를 불어넣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목곽묘 마주·마갑 보고서' 발간
28t 마갑 유구 이동 과정 상세히 기술…이르면 6월 일반에 공개

1500년 잠든 마갑에 생기를 불어넣다
AD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2009년 경북 경주 쪽샘지구 C10호 목곽묘(木槨墓·덧널무덤)에서는 말 갑옷이 출토됐다. 신라의 기마문화를 엿볼 수 있는 유물이었다. 말이 착용한 갑옷인 마갑(馬甲)이 목곽 바닥에 깔렸는데, 그 위에 말을 탄 장수가 입은 것으로 추정되는 찰갑(札甲·비늘식 갑옷)이 있었다. 740매에 이른 마갑은 길이가 약 290㎝, 너비가 약 90㎝였다. 습기와 자외선에 훼손될 수 있어 연구실로 옮겨졌고, 약 10년간 보존처리됐다. 지난해 10월에야 언론에 공개됐다.


경주문화재연구소는 1500년 이상 무덤에서 잠들었다가 빛을 본 마갑 연구 성과를 정리해 최근 ‘경주 쪽샘지구 신라고분유적Ⅹ - C10호 목곽묘 출토 마주·마갑 조사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마갑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목·가슴, 몸통(130㎝X100㎝), 엉덩이 부분이 정연하게 깔려 있었다. 부곽(副郭)에서는 말 얼굴 가리개인 마주(馬胄)와 안장, 재갈, 발 받침 등 다양한 마구가 출토됐다.


1500년 잠든 마갑에 생기를 불어넣다


연구소는 무게가 28t에 달한 마갑 유구(遺構·건물의 자취)를 보존하고자 가건물부터 세웠다. 냉방시설과 제습시설을 마련해 바깥과 온도차를 줄이고 습기를 제거했다. 국내에서 이처럼 거대한 마갑 유구를 수습한 사례는 전무했다. 더구나 C10호 목곽묘 토층은 점토질이 있는 흙이 거의 없었다. 10∼30㎝ 크기의 냇돌까지 있어 이동 시 중량을 견디고 무게중심을 잡기가 만만치 않았다. 연구소는 모의실험을 했다. 대상의 표면을 강화하고자 셀룰로스계와 아크릴계 물질을 바르고, 유물에 용해하기 쉬운 물질로 강화 처리를 했다. 강화제 농도를 5∼20%로 달리 하고, 한지를 부착했다. 위쪽에 석고붕대를 감싸고 발포 우레탄으로 20㎝ 정도 덮었다. 이어 유구를 들어 올리는 연습을 하기 위해 40㎝ 너비로 흙을 파내고 비닐을 넣어 우레탄을 발포했다.


준비 과정을 마친 연구소는 들뜨거나 분리되는 갑옷 조각을 먼저 빼내고 표면 강화 작업을 했다. 아울러 유구 주변을 연습보다 더 깊은 1.5m 깊이로 파냈다. 1차 크레인 작업을 했을 때 유구 중량은 28t. 유구를 뒤집고 우레탄과 흙을 걷어내 보존처리실 문을 통과했다. 2차 크레인 작업에서 중량은 18t으로 줄었다. 비교적 수월하게 마갑과 토양을 떼어냈다.


1500년 잠든 마갑에 생기를 불어넣다


연구소는 보존처리 과정에서 직물이 평견(平絹·평직으로 된 비단)과 마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마갑에 남은 나무 흔적의 정체가 소나무임을 밝혀냈다. 보고서는 “신라시대 목곽 중 수종(樹種) 분석이 된 예는 천마총 밤나무, 황남대총 느티나무가 전부다. 소나무가 어떻게 사용됐는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마갑의 주인인 말의 품종에 대해서는 신라 왕성인 경주 월성(月城) 출토 말뼈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월성에서 출토된 5세기 말뼈로 추정하면 당시 말은 높이가 120∼136㎝였다. 보고서는 "현재 조랑말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조금 더 컸을 것“이라며 ”당시에는 이러한 말이 우량한 품종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1500년 잠든 마갑에 생기를 불어넣다


보고서에는 다양한 도면과 사진, 엑스레이 촬영 결과 등도 수록됐다. 마갑 복원을 위한 연결 방법과 착용 방식 분석에 관한 내용도 실렸다. 연구소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재현품을 제작해 제주 한라마에 입히기도 했다. 이르면 6월께 마갑과 재현품·찰갑·무기류 등을 전시하고, 향후 찰갑 보고서를 펴낼 계획이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