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울주군이 드론특별자유화구역 3년 연속 지정을 목표로 '드론 표준도시 울주' 구현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울주군은 3일 군청 은행나무홀에서 '드론특별자유화구역 3차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실증 기반 드론산업 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체계를 강화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순걸 울주군수를 비롯해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장병태 원장 △볼로랜드 △울산무인항공 △스카이시스 △에어로리서치 △에이엠피 △프리뉴 △제노소프트 등 7개 민간 드론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협약은 울주군이 2022년과 2023년에 이어 3년 연속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지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공공과 민간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여 기관들은 드론 실증사업을 기반으로 울주군의 도시 문제 해결과 주민 체감형 서비스 확대에 공동 협력키로 했다.
협약에 따른 실증 과제는 총 4개 분야 14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항공방위 분야에서는 초연결 관제, K-드론 배송, 통합방위, 드론탐지 등 군 특화 드론운용체계를 실증하고, 안전도시 분야에서는 AI 기반 산불 감시와 안전 점검, 불법 해루질 감시 등 공공안전 과제를 포함했다.
또 생태계 조성에는 드론 조종 자격 교육, 체험형 드론 교육 프로그램을 배치해 전문 인력 양성과 시민 참여를 확대하고 드론 서비스 분야에는 산악구조, 도시관리, 농작물 진단, 방사능 측정 등 주민 생활 밀착형 드론 서비스가 포함됐다.
이순걸 군수는 "울주군은 드론 기술을 행정 서비스에 접목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를 창출해왔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울주가 명실상부한 드론 산업의 표준 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은 '드론활용 촉진·기반조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인증·허가·신고 등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실증 실험과 상용화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구역이다. 울주군은 2024년 하반기에도 관련 실증사업을 확대해 드론 산업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