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공장 중국인 엔지니어 등 300여명 귀국
애플 아이폰을 제조하는 대만 위탁생산 업체 폭스콘이 인도에 파견 나가 있는 중국인 직원들에게 중국으로 철수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중국 당국이 인도와 동남아 지역으로의 기술 유출을 차단하려 압박했을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폭스콘이 최근 인도 내 아이폰 공장에서 일하는 중국인 엔지니어와 기술 인력들에 귀국을 종용했으며, 이에 따라 300명 이상의 중국인 직원들이 철수했다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현재 인도 공장에는 주로 대만 출신 지원 인력만 남아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에 대규모 아이폰 생산공장을 갖고 있는 폭스콘은 애플의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에 따라 인도에 공장을 설립해 현지 생산량을 늘리고 있으며, 중국 공장의 기술 인력이 인도에 파견돼 현지 직원을 교육하고 있다.
폭스콘의 중국인 직원 귀국 조치는 약 두 달 전 시작된 것으로 전해졌다. 사유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으나, 중국 당국이 올해 초 규제 기관과 지방 정부에 인도와 동남아시아 등지로 기술 인력이나 장비 이전이 이뤄지지 않도록 압력을 가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블룸버그통신은 해석했다.
중국 직원들의 철수는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이폰 공장 조립 라인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애플은 현재 인도에서 신제품 아이폰 17 생산을 늘릴 계획이어서 이 같은 직원 철수가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인력의 기술과 전문성을 높게 평가한 바 있다. 중국에서 아이폰이 대부분 생산되는 주된 이유도 단순히 비용 우위 때문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관계자들은 중국인 직원 철수는 현지 인력 교육과 기술 이전을 지연시켜 생산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인도는 4년 전부터 아이폰 대량 생산을 시작했으며, 현재 전 세계 생산량의 5분의 1을 차지한다. 애플은 2026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의 대부분을 인도에서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