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캠퍼스에서 임직원 소통행사
"예측 어렵지만 현재까진 계획 그대로"
HBM에 이어 "D램도 경쟁력 있다" 자신
TC본더 다변화 전략은 유지
PS는 새 기준안 마련 "잘 만들어야"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은 "올 하반기에는 관세 여파나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더 커질 것"이라 내다보며 임직원들에게 "다 같이 합심해 계획을 달성하자"고 당부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곽 사장은 전날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에서 '함께하는 더(THE) 소통행사'를 열고 임직원들에게 '향후 실적 전망'에 대해 "올해와 내년을 예측하긴 어렵지만, 현재까지는 계획과 유사하게 가고 있다면서 이와 같이 말했다.
SK하이닉스는 분기마다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직원들의 이야기를 듣고 각종 경영 현안에 대해 설명하는 소통행사를 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SK하이닉스 국내 전 사업장에 생중계됐다.
업계에선 미국이 전방위적인 관세정책을 펼치고 있는 데다 반도체 대상의 품목별 관세까지 현실화할 경우 SK하이닉스도 영향권에 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곽 사장은 이 점을 주목하고 회사가 변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올해 반도체 시장 상황(시황)은 긍정적일 것이란 전망도 내부에 있다. 이상락 글로벌 세일즈마케팅(GSM) 담당 부사장은 "상반기 시황은 아주 좋았고 하반기도 비관적이진 않다"며 "우리의 경쟁력은 고대역폭 메모리(HBM)이며 기존 D램도 경쟁력이 있다"고 자신했다.
SK하이닉스는 'AI 큰손' 엔비디아에 최신 HBM인 HBM3E(5세대)를 공급 중이며 이미 올해 물량을 '완판'한 상태다. 차세대 제품인 HBM4(6세대)도 이미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고객사에 샘플을 공급했으며 올해 하반기 양산을 앞두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이 같은 HBM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올해 1분기 33년 만에 삼성전자를 제치고 글로벌 D램 시장 1위를 올랐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1분기 D램 점유율은 36.9%였다.
HBM 필수 제조장비인 'TC 본더'의 다변화 전략은 유지할 방침이다. 김영식 양산총괄 부사장은 "앞으로도 회사의 다변화 정책은 변화가 없을 것"이라며 "원래 회사와도 오래 일했지만, 다른 다변화 업체와도 오래 일했기 때문에 (올해 5월) 나눠서 발주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가 그동안 HBM3E 12단 제조에 한미반도체 TC 본더 장비를 전량 사용해왔으나 올해 초 한화세미텍 장비도 사용하기로 하면서 한미반도체와 기류가 불편해졌다. 당시 한미반도체는 그동안 고객서비스(CS)를 무상으로 제공해왔고 경쟁사 대비 싼값에 장비를 공급했다고 주장하며 SK하이닉스에 서비스 유료화와 장비 가격 인상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김 부사장은 "무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 것은 없고, 경쟁사 것을 비싸게 샀다고 하는 것도 꼭 그렇진 않다"며 "우린 자사 (가격 정책 등의) 룰대로 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아울러 곽 사장은 성과급 제도 중 하나인 초과이익분배금(PS)의 새로운 기준안 마련에 대해 "룰이 애매모호하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각계각층의 의견을 받아 최적의 방법을 찾는 등 이번 기회에 룰을 좀 잘 만들어야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토론회 같은 자리를 만들어서 재무 등에서 회사의 살림을 공유하면 불필요한 오해가 줄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지금 뜨는 뉴스
PS는 연간 실적에 따라 매년 1회 연봉의 최대 50%(기본급의 1000%)까지 지급하는 인센티브다. SK하이닉스는 2021년부터 전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개인별 성과 등을 연계해 PS를 지급해왔다. 회사는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영업이익 23조4673억원)을 달성하며 올해 초 기본급 1500%의 PS와 격려금 차원의 자사주 30주를 지급했으나 이보다 높은 수준의 특별성과급이 지급되어야 한다는 노조의 주장에 따라 갈등이 빚어졌었다. 노조는 현재 임금 인상과 PS 초과분 협상 등을 논의하기 위한 임금 교섭을 하고 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