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 일자리' 미끼로 러시아로 유인
5주간 군사 훈련 받게 한 후 강제 징집
러시아가 아프리카인들을 '취업사기' 방식으로 속여 우크라이나 전장으로 강제로 보내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러시아는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에서 '샴푸 공장 직원 모집' 광고를 통해 구직자를 채용한 뒤 러시아군 소속으로 우크라이나 전선에 투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메룬 출신 장 오나나(36)는 샴푸 공장에서 일할 사람을 구한다는 채용 광고를 보고 러시아에 갔다가 군에 강제 징집됐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군에 포로로 생포된 그는 5주간 군사훈련을 받은 뒤 전선에 투입됐다고 했다. 오나나는 군사훈련을 받을 당시 짐바브웨와 방글라데시, 브라질 등 여러 나라 출신 외국인이 10여명 있었다고 전했다.
세네갈 출신 말릭 디오프(25)는 러시아 유학 중 전투가 아닌 식기 세척 업무로 월 5700달러(약 772만원)를 벌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입대했다가 전투병으로 최전선에 배치됐다. 이후 그는 탈영한 다음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됐다.
취업사기 방식으로 러시아군에 입대한 외국인의 수가 정확히 얼마나 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일부 외국인은 높은 급여 때문에 자원입대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메룬 부사관의 월급은 67파운드(약 11만원)에 불과하지만, 러시아군에 입대할 경우 월 1500파운드(약 260만원)를 받기 때문이다. 카메룬 정부는 현직 군인이 군을 이탈해 러시아로 가는 사례가 늘자 군인의 해외 출국 규제를 강화했다.
러시아는 외국인 여성도 군수품 제조 공장 노동자로 동원하고 있다. 지난달 29일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아프리카 출신의 젊은 여성들이 러시아 내 공장에서 자폭 드론(무인기) 생산에 동원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옐라부가 경제특구에서는 아프리카 출신 여성 수백명이 공장에서 이란산 자폭 드론을 조립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18세 미만의 미성년자로 알려졌다.
지금 뜨는 뉴스
지난해 4월 우크라이나군이 이 지역 드론 제조 공장을 폭격했을 때 아프리카 출신 여성 노동자 여러 명이 다치기도 했다. 이들은 높은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말을 믿고 공장에 취직했지만, 자신들이 일하는 곳이 우크라이나의 공격 목표가 될 것이란 사실은 몰랐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코노미스트는 SNS와 텔레그램 등에 올라온 옐라부가 취업 광고가 매우 기만적이라, 유엔이 이는 인신매매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놓기도 했다고 전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