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부품 가격 최대 두 배 인상
군사적 목적 사용 차단 위해 수출 통제
중국이 드론 핵심 부품에 대한 수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드론 부품 구매 비용이 급등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중국 선전에서 열린 무인항공시스템 박람회에 참석한 바이어들에 따르면, 현지 공급업체들과 중간 유통업체들은 외국 고객을 대상으로 부품 가격을 최대 두 배까지 인상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드론 부품의 군사적 전용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수출 통제를 강화한 데 따른 것이다.
전 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 규모는 약 410억 달러에 달한다. 민간용으로 설계된 드론이 우크라이나와 중동 등 전장에 투입되면서 군사적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은 드론 및 관련 부품 수출업체들에 복잡한 특수 허가 절차를 요구하고 있으며, 특히 소량 수출을 하는 중소 부품업체들은 해당 절차를 통과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부터 수출 통제 대상 기술의 범위를 확대해 왔으며, 최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관세 압박이 거세지자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현재 세계 상업용 드론의 70~80%를 생산하고 있으며, 속도조절기·센서·카메라·프로펠러 등 주요 핵심 부품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제조사들이 대체 공급처를 찾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 터키 드론 제조업체는 FT에 "필요한 부품을 확보하기 위해선 비싸고 신뢰하기 어려운 운송업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며 "지난달 항공 운송 비용이 2000달러였는데, 이번 달에는 3500달러를 요구받았다"고 밝혔다.
군사용 정찰 드론을 생산하는 프랑스 업체 관계자도 "유럽은 중국보다 기술적으로 3년 이상 뒤처져 있다"며 "유럽산 부품으로는 중국 수준의 드론을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특히 열화상 카메라 부품은 수출 통제로 인해 가격이 두 배 이상 치솟았으며, 공급업체들이 비용 부담을 상쇄하기 위해 가격을 올리고 있어 구매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칼릴 에스테르함라리 중국·이란 협력센터 소장은 "이란 고객에게 소방용 드론을 공급하려던 계획이 중국 세관의 정밀 검사로 무산됐다"며 "현재는 농업용 드론만 수출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지금 뜨는 뉴스
자오옌 드론 수출업체인 산시 시토우 UAV(무인항공기) 지능제조사 대표는 "우리는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규정을 준수하는 구매자에게만 제품을 판매한다"며 "칼이 요리에 쓰일지, 다른 목적으로 쓰일지는 결국 사용자에게 달린 문제"라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