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신중년층이 부모 부양과 자녀 지원으로 부담이 가중되고 있지만 일자리 정책은 중단되는 등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광주시 동구의회 이지애 의원은 10일 본회의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신중년층은 부모 부양과 자녀 지원의 이중 부담 속에 퇴직 후 단순·저임금 일자리에 머무는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며 "광주시와 동구의 신중년 일자리 사업 또한 월 50만~67만원 수준으로 생계 대안이 되기 어렵고, 최저임금과 4대 보험이 보장되던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사업'은 올해 중단됐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신중년 일자리 예산 확대·정책 인식 전환 ▲'인생 3모작 프로그램'의 취·창업 중심 개편 ▲신중년 맞춤형 창업지원·사후관리 체계 구축 등 3가지 정책 과제를 제안했다.
이 의원은 "동구 인구의 22.6%를 차지하는 신중년을 위한 일자리 예산은 연 2억2,000만원에 불과하지만, 노인 일자리에는 156억원이 투입되고 있다"며 "단순 교양 위주의 인생 3모작 프로그램을 자격 과정 중심으로 개편하고, 일자리 부서가 직접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신중년은 경험과 기술을 갖춘 인적 자원이다"며 "이들이 지역사회와 경제의 주체로 설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과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신중년'은 일반적으로 50~64세를 일컫는 말로, 여전히 건강하고 경력이 풍부하지만,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세대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