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차 내장재 불연 소재 교체… 3호선 CCTV 실시간 관제 연동 확대
소방서 합동훈련·외부진단 병행, 현장 대응성 높여… 인명피해 최소화
최근 도시철도 내 화재 사고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부산교통공사가 열차 내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부산교통공사(사장 이병진)는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 전동차 내장재를 난연·불연 자재로 교체(2006년 완료)했으며, 역사 내 주요 소방설비에 대한 개량·설치와 정기 점검도 병행 중이다.
도시철도 전 노선(1∼4호선)에는 CCTV가 설치돼 있으며 1·4호선은 종합관제소에서 실시간 영상 확인이 가능하다. 공사는 오는 2026년 4월까지 2·3호선에도 실시간 영상 연동 시스템을 적용해 전 노선에서 비상상황 대응 역량을 높일 계획이다.
화재 시 대피가 어려운 고심도 역사(만덕역, 물만골역 등)에는 구조용 손수건을 피난 경로 인근에 비치하고 부산소방재난본부와 협력해 6월 중 지역 12개 소방서와 합동 대피훈련도 진행한다.
기관사·관제사·역무원 간 실시간 정보 공유와 유기적 대응 체계 구축도 강화한다. 특히 2호선 민락센텀시티 구간(수영강 하저터널), 3호선 만덕미남역 구간(고심도)에서는 실무 중심의 합동훈련을 실시해 현장 대응 역량을 점검한다.
이와 함께 승객 대상 안전 행동요령 홍보도 강화하고 1∼4호선 99개 역사에 대해 외부 전문기관(한국소방안전원 등) 화재안전진단을 진행해 개선 권고사항을 순차 반영할 예정이다.
지금 뜨는 뉴스
이병진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화재 대응은 설비만큼이나 실천이 중요하다"며 "실질적인 대응 능력을 높여 단 한 명의 인명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