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갈등 재점화
철강 추가 관세 기습 부과
뉴욕증시 혼조세 마감
국내도 영향 불가피
2일 한숨 돌리나 싶었던 미·중 무역 갈등이 다시 격화되는 양상을 보이며 시장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4.34포인트(0.13%) 오른 4만2270.07에 장을 마쳤다. S&P 500지수는 전장보다 0.48포인트(0.01%) 내린 5911.69, 나스닥종합지수는 62.11포인트(0.32%) 떨어진 1만9113.77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중국이, 어쩌면 누군가에겐 놀라운 일이 아니겠지만, 우리와의 합의를 완전히 위반했다"면서 중국을 향해 불만을 드러내며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중국과의 관세전쟁 휴전 30일 만이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기술 분야에 대한 더 광범위한 제재를 계획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에 관련 종목의 투자심리가 얼어붙었다. 엔비디아는 2.92% 하락했고 TSMC와 ASML, AMD, 퀄컴, Arm이 2% 안팎으로 하락했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날 백악관에서 행정부를 떠나는 고별 기자회견을 열었음에도 3.34% 하락했다.
증시 혼조세는 이번 주 더 짙어질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금요일 장 마감 이후 기습적으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피츠버그 소재 US스틸 공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외국산 철강에 대한 관세를 이번 주부터 25%에서 50%로 올린다고 밝혔다.
EU는 기습 인상에 "전 세계 경제에 추가로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대서양 양측의 소비자와 기업에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라며 대응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답했다. 관세 불확실성이 다시 고조될 수 있다는 신호다.
시장은 이번 주 발표되는 5월 미국 비농업 고용지표를 주시하고 있다. 발표되는 지표에서 소비자와 기업이 관세 부담으로 얼마나 흔들렸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예상치에 부합하거나 상회하는 결과가 나오면 증시는 이를 무난히 소화할 수 있지만 예상치를 밑돌면 투자심리가 흔들릴 수 있다.
국내 증시도 확대된 관세 불확실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3일 21대 대통령 선거 영향을 받으면서 코스피는 2700선에서 공방전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주에도 트럼프의 관세 행보 변화가 증시의 변동성을 유발요인이 될 전망이지만 큰 틀에서는 아직 새로운 관세 불확실성의 대대적인 국면 전환으로 보긴 어렵다"면서 "6~7월 중 데이터상 관세 여진 확인 후 대응의 기존 시나리오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 연구원은 "국내에 한해서는 대선이 중요하다. 5월 중 코스피가 5.5% 상승하면서 2700선대를 터치해본 것도 조선, 방산 등 기존 주도주들의 약진뿐만 아니라, 신정부 정책 기대감도 한몫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선 직후 재료 소멸에 더해 주 후반 미국 고용 및 국내 휴장 경계심리가 맞물리면서 대선 수혜 업종을 중심으로 단기 차익 실현 물량이 출회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