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HF 주택금융 콘퍼런스 개최
고령화·가계부채 대응 방안 논의
한국주택금융공사(사장 김경환)는 3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한국의 주택금융 80년과 우리의 도전과제'를 주제로 '2025 HF 주택금융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김경환 사장은 개회사에서 "광복 이후 80년간 한국 주택금융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공사의 향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수요자 중심의 금융 확대와 주택연금 활성화를 통해 실수요자와 취약계층 주거안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축사에서 "주택금융공사는 보금자리론, 전월세보증, 주택연금 등으로 주택금융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며 "잠재 리스크에 대한 선제 대응과 정책 사각지대 해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버트란드 르노 전 세계은행 고문은 "지정학적 분절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한국은 고령화와 전세제도, 높은 가계부채 등 구조적 요인에 대응해 주택금융의 복원력 강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광욱 주택금융연구원 정책연구팀장은 "주택연금은 노후 빈곤 완화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 도구"라며 "수도권과 지방의 가입 격차 해소와 상품 경쟁력 강화를 통해 가입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진 대토론회에서는 전문가들의 다양한 제언이 이어졌다.
곽노선 한국금융학회장은 "가계부채 관리와 부동산 PF 안정화 등 당면 과제를 위한 정책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남영우 한국주택학회장은 "주택금융의 유동화 확대와 함께 주택연금의 공적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승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부회장은 "PF사업성 평가와 인증제도에서 공사의 선도적 역할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정대 한국금융소비자학회장은 "보금자리론 등 정책 상품을 통해 고령화·부동산 침체 등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조훈 한국금융공학회장은 "주택연금 가입 확대를 위한 담보주택 가격기준 상향 등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제기된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공사의 공공성과 실효성을 높여나가겠다"고 전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번 콘퍼런스는 한국금융공학회, 한국금융소비자학회, 한국금융학회, 한국부동산분석학회, 한국주택학회 등 5개 학회와 공동 주관으로 열렸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