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노조, 2025년 1차 임금교섭 진행
기술사무직 노조, 8.25% 인상안 제시
연봉 상한선 상향·통상임금 확대 등 포함
"합리적 임금 인상 수준 필요"
사측 "건설·생산적 논의 기대"
지난해 최대 실적을 달성한 SK하이닉스의 기술사무직 노동조합이 사측과의 올해 임금교섭에서 8%대 임금 인상안을 제시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기술사무직 노조와 사측은 지난 28일 이천캠퍼스에서 2025년 1차 임금교섭을 진행했다.
노조가 제시한 임금교섭안에는 임금 8.25% 인상, 연봉 상한선 상향, 차량 유지비 및 유류비 등 통상임금 확대, 인사평가 개선 구성원 대상 업적금 800% 보장, 초과이익분배금(PS) 배분율 상향 및 상한 폐지 등 요구가 담겼다. PS의 경우 SK하이닉스는 2021년부터 전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개인별 성과 등을 연계해 지급해왔다.
노조는 "과거 외부 요인에 의해 임금 인상이 됐다면 이제 구성원이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 (임금 인상) 수준이 필요하다"며 경영 실적과 구성원 희망을 기반으로 임금교섭안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사측은 대내외 경영 환경과 보상 경쟁력 수준 등을 포함해 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겠단 입장이다. PS 지급 기준 개선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성원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향후 임금 교섭 과정에서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했다.
앞서 지난해 SK하이닉스 노사가 최종 합의한 임금 인상률은 5.7%였다. 노조는 지난해에도 당초 8%대 인상을 요구했지만 2022년(5.5%)과 2023년(4.5%)보다 인상률을 소폭 올리는 수준에서 사측과 접점을 찾았다. 지난해 임금교섭 당시 SK하이닉스는 2023년 7조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이후 실적 개선과 업황 회복이 이어지고 있었다.
SK하이닉스가 지난해 고대역폭메모리(HBM)의 흥행을 앞세워 역대 최고인 23조4673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이에 따라 올해 임금 교섭의 향방에도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대 실적을 낸 SK하이닉스는 연초 구성원들에게 PS 1000%와 특별성과급 500%를 포함한 총 1500%의 성과급과 격려금 차원의 자사주 30주를 지급하기도 했다.
복수노조 체제를 채택한 SK하이닉스에서는 민주노총 산하 기술사무직 노조와 한국노총 소속의 이천·청주공장 전임직 노조가 각각 따로 임금 협상을 한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