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세계금연의날' 맞아 흡연 폐해 분석
우리나라에서 한해 직접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7만명을 넘고 직·간접적인 사회경제적 비용은 13조원을 웃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3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직접흡연으로 인한 국내 사망자 수는 2020년 6만1360명에서 2021년 6만3426명, 2022년 7만2689명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22년 기준으로 현재 흡연자의 사망 위험은 비흡연자보다 남성은 1.7배, 여성은 1.8배 높았으며, 과거 흡연자(과거에 흡연자였지만 현재는 흡연하지 않는 사람)의 사망 위험은 남성이 1.1배, 여성은 1.3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직접흡연으로 인한 직·간접 사회경제적 비용은 2020년 12조8912억원, 2021년 12조9754억원, 2022년 13조6316억원으로 추산됐다. 사회경제적 비용이란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 교통비 등 직접비와 조기사망 및 의료이용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과 같은 간접비를 합한 비용이다.
흡연폐해 사회경제적 비용추계는 '흡연 기인 사망 및 사회경제적 부담 산출 연구'를 통해 2019년부터 매년 국가 단위 통계로 산출·분석되고 있으며, 국가 금연 정책 및 담배 규제정책 수립 등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질병청은 직접흡연으로 인한 사망자 수 및 사망 위험 산출을 위해 '흡연폐해연구 맞춤형 데이터베이스' '한국인 암 예방 연구Ⅰ·Ⅱ' '한국인 대사증후군 사망 코호트 연구' 등 총 4개의 코호트 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를 각각 연계해 분석했다.
지금 뜨는 뉴스
지영미 질병청장은 "흡연은 각종 암 등 만성질환 발생을 야기하는 가장 대표적인 건강 위해 요인으로, 개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건강한 미래사회를 위해서는 금연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주기적으로 흡연 기인 사망자 수, 사회경제적 비용을 산출해 국가 담배 규제정책 및 금연 사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