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시마 제품군(IV·SC) 유럽 점유율 71% 기록
세계 유일의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 제형 치료제인 셀트리온의 '램시마SC'가 지난해 말 기준 유럽 전체에서 점유율 22%를 기록했다.
28일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램시마SC는 2020년 유럽 출시 이후 판매 1년 차인 2021년엔 전체 점유율이 4%에 불과했었다. 4년 만에 점유율이 5배 이상 확대된 것이다.
특히 정맥주사(IV) 제형인 '램시마'까지 합산한 전체 램시마 제품군은 지난해 말 기준 유럽에서 71%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유럽에서 인플릭시맙을 처방받은 자가면역질환 환자 10명 중 7명이 램시마 제품군으로 치료받고 있는 셈이다.
미국에서 판매 중인 짐펜트라(램시마SC 미국제품명)의 매출 전망도 밝다. 셀트리온은 램시마SC가 유럽에서 일정 기간을 거쳐 처방 안정화가 이뤄진 점을 고려할 때, 미국에서도 대형 보험사 처방집 등재가 완료되면 짐펜트라 처방 증가세는 가팔라질 것이라 보고 있다.
셀트리온의 다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들도 유럽에서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아달리무맙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는 지난해 말 기준 유럽에서 21%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유럽에 출시된 우스테키누맙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는 판매 두달여 만에 2%P 이상 점유율을 높이며 조기 시장 선점에 성공했다. 유럽 주요국에 설립된 현지 법인에서 국가별 제약 시장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형 판매 전략을 추진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셀트리온의 주요 타깃인 항암 질환에서도 제품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2022년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 '베그젤마'는 판매 2년 차인 지난해 말 기준 28%의 점유율로 오리지널을 포함한 유럽 내 9개 베바시주맙 제품 중 처방 1위를 기록했다. 항암제 '트룩시마'와 '허쥬마'도 유럽에서 30%에 가까운 점유율로 안정적인 처방세를 기록하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셀트리온 관계자는 "유럽에서 투약 편의성 및 치료 효능, 현지 법인 주도의 맞춤형 판매 전략 등이 더해지며 램시마SC의 영향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 이런 성과가 세계 최대 제약 시장인 미국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유럽에서 기존 제품들이 처방 선두권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올 하반기 신규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의 출시를 바탕으로 회사의 실적 성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