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으로 재판받고 있는 김영선 전 의원이 자신의 회계책임자였던 강혜경 씨와 언론 등을 고발했다.
김 전 의원은 26일 오전 경남 창원지방법원에서 열린 공판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 씨와 언론사 관계자 4명, 변호사 1명 등을 명예훼손, 횡령, 배임, 절도 등의 혐의로 고소·고발했다고 밝혔다.
그는 "회계담당자가 회계 업무를 제대로 한다고 믿고 회계담당자가 요구하는 대로 돈을 준 것 말고는 이 사태 전반에 대해 알지 못했다"라고 말했다.
"2022년 5월 31일 국회의원 임기가 끝나고 나서 강 씨가 사무실에 있는 모든 자료를 가지고 가서 넘겨주질 않았다"며 "구치소에 있으면서 수사기록을 받아보면서 사안에 대해 어느 정도 알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의원은 "나는 선거법대로만 선거운동을 했고 강 씨는 16가지 방법으로 돈을 빼갔다"며 "이 사건은 16가지 방법으로 내가 여러 가지 갈취, 횡령당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치자금 범죄로 하면 강 씨만큼 다양한 수법으로 범행하는 흉악범이 없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주요 공소사실이 나한테서 강 씨에게 간 돈 일부가 명태균 씨에게 갔다는데, 명 씨와 내 사건은 이 법원 형사 4부, 강 씨의 사건은 형사 2부에 가 있다"고 했다.
"강 씨가 없으면 나와 명 씨의 관계가 단절되는데도 사건을 둘로 나눠서 진행한다. 강 씨의 회계 부정 혐의 내용이 형사 4부 내용과 배치되기 때문"이라며 "반사적으로 나의 반대 심문권이 제한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씨가 특정 언론 등과 함께 보도한 컴퓨터에 대해서는 "국회의원 김영선 사무실에서 사무 용도로 쓰던 컴퓨터로, 소유권은 나에게 있다"면서 "강 씨가 절도 행위로 확보한 장물을 사용해 언론이 보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미래한국연구소를 사실상 운영한 명태균 씨가 2022년 6월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홍준표 전 대구시장 측근인 전 경남개발공사 사장 박 모 씨로부터 여론조사 비용 1억원을 대납받았다는 의혹 보도도 언급했다.
김 전 의원은 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 물증으로 의심받는 2장의 수표 촬영본을 공개했다.
해당 촬영본은 2022년 4월 우리은행 대구중동지점에서 발행한 5000만원짜리 수표 1장과 2020년 9월 NH농협은행에서 해당 금액 수표를 발행한 출금표였다.
앞서 미래한국연구소 전 소장인 김 씨와 강 씨는 명 씨의 지시에 따라 이 돈을 경남 창원의창 보궐선거에 출마하는 김 전 의원의 선거비용에 썼다는 주장을 펼쳤으나 김 전 의원 측은 "관계가 없다"며 선을 그었다.
김 전 의원 측은 박 전 전 경남개발공사 사장이 김 전 미래한국연구소장에게 해당 금액을 줬고, 김 전 소장이 강 씨에게 전달해 강 씨가 이를 사용했다고 반박했다.
그는 "돈을 뜯기기만 하고 음해당한 나는 무죄를 주장하는데도 구치소에 넣고, 실제 혜택받은 홍 전 대구시장은 하와이에서 즐기고 있다"며 "한 사건을 두 개로 쪼개서 제대로 방어도 못 하게 하는 이런 사법부가 어디 있냐"며 비판했다.
"회계직원이 정산해 준대서 돈 준 것밖에 없다"면서 "그런데 그 직원은 그 돈이 어디서 왔고 선거자금을 어디다 썼고 갚을 게 얼마인지 정산서를 달라는 데도 2년 동안 미루다가, 이제 와 내가 한 번도 회계자료를 달라고 하지 않았다고 한다"라고 말했다.
"부산에서 회계사를 불러 정리하라고 하는데도 내부 자료라 못 준다며 버텨놓고는 지금 와서는 달라고 한 적이 없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지금 뜨는 뉴스
김 전 의원은 "수사를 정확하게 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며 "나처럼 이렇게 억울한 경우가 없다"라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