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압박 연장선…관세협상은 23일 이후
베센트-아카자와, 역할 나눠 압박·방어
日 "미국산 車 수입 72배? 현실과 괴리"
미국과 일본이 20일부터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기간 중 별도의 재무장관 회담을 개최한다.

교도통신은 20일,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상이 양자 회담을 갖고 환율 문제를 중심으로 의견을 교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는 지난달 24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1차 회담에 이은 후속 만남이다. 당시 가토 재무상은 "환율 수준이나 목표, 관리 체계 등에 대한 미국 측의 언급은 없었다"고 밝혔으나, 양국은 환율 관련 협의를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회담은 미국과 일본의 통상 이슈가 환율과 관세라는 '두 갈래 트랙'에서 병행 논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과거 지속적으로 일본 엔화 약세에 문제를 제기해온 만큼, 환율 협의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한편, 미일 간 제3차 관세 협상은 G7 회의 직후인 23일 이후 미국에서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일본 측 협상 대표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22일부터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실무급 논의는 이미 미국 현지 시각으로 19일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 협상에는 베센트 재무장관은 참석하지 않고, 미국 측에서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하며, 철폐 요구를 강하게 이어가고 있다.
지난 1일 열린 제2차 미일 관세 협상에서 일본은 자동차 관세를 포함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전반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했으나, 미국은 상호관세만을 논의 대상으로 고수했다.
한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지난해 미국의 대일 무역적자가 약 9조48억엔(한화 약 86조8000억원)에 달했다고 전했다. 이를 해소하려면 일본의 미국산 자동차 수입을 현재의 72배로 확대해야 하며, 이는 일본 연간 신차 판매량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다.
지금 뜨는 뉴스
현재 미국산 차량은 일본 내 전체 판매량의 1% 미만에 불과해,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가 현실화되기엔 어려움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