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안比 618억원↑…GPU 1만장에 1.6조원 투입
'월드 베스트 LLM' 2136억원
국산 AI반도체 상용화 가속…실증사업 예산 2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 분야에 1조9067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확보했다. 당초 정부안보다 618억원 증액된 금액으로,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됐다고 과기정통부는 1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추경을 통해 첨단 그래픽 처리 장치(GPU) 1만장을 연내 확보하고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과제들을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1년이 늘어지면 경쟁력이 3년 뒤처진다"는 인식 하에 AI컴퓨팅 인프라 확충과 차세대 AI모델 개발, 인재양성에 집중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무엇보다 1조 6341억원을 투입해 클러스터링 기반 GPU 1만장을 올해 들이고, 민간이 보유한 첨단 GPU 3000장을 1723억원을 들여 임차해 활용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WBL)' 추진에 2136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국내 5개 정예팀을 선정, 최대 3년간 GPU, 데이터, 인재 등 필요 자원을 집중 지원한다.
국산 AI반도체의 조기 상용화도 가속화된다. 올해 실증예산을 417억원에서 871억원으로 2배 넘게 증액해 국내 유망 AI반도체 기업들의 NPU(Neural Processing Unit) 상용화를 적극 지원한다. 여기에 온디바이스 AI, 해외실증 등 신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AI혁신펀드'의 정부 예산도 1000억원 규모로 증액하며, 연구개발특구 내 AI분야 우수 연구소기업의 AI기술사업화와 AI 전환 확산을 위해 100억원의 예산을 추가 투입한다. 또한 AI·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기술·보급 지원에 92억원을 신규 지원한다.
이외에도 해외 최고급 AI 연구자 유치를 위해 연 최대 20억원을 지원하는 'AI 패스파인더(Pathfinder) 프로젝트'를 추진, 유치 인재는 WBL 프로젝트팀에 우선 배치할 예정이다. AI 인재 확보·양성에도 15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글로벌 AI챌린지'를 개최하고, AI와 과학기술 융합분야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을 위해 국내외 박사후연구원 400명에게 최고 수준의 처우와 집단·융합연구 등을 집중 지원한다.
지금 뜨는 뉴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주도권을 둘러싼 글로벌 결정 속에서 시급한 예산이 확보됐다"며 "그 어느 때보다 절박한 심정으로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전방위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