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50인 이상 기업일수록 준수 어려움 커
'생산성 저하' '운영 차질' 현장 애로 속출
핵심인력 예외 규정 등 제도 개선 목소리 커져
벤처기업 10곳 중 4곳은 주 52시간제 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과 고용 규모 50인 이상 기업에서 부담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업계에선 벤처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근로시간 제도의 유연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벤처기업협회가 1일 발표한 '벤처기업 주 52시간제 운영 실태 및 애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41.1%는 주 52시간제 준수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44.4%)이 서비스업(35.8%)보다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고용 규모 50인 이상 기업에서는 70% 이상이 제도 준수가 어렵다고 답해, 규모가 클수록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3 벤처기업 567개사 대표이사 및 인사 담당 임원을 대상으로 주 52시간제 운영 실태와 애로를 파악하고, 근로시간제도 유연화를 위한 제도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응답 기업들이 겪는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생산성 저하 및 운영 차질'(42.5%)이 가장 많았고, '인력 문제'(30.1%), '비용 부담'(17.1%)이 뒤를 이었다.
근로시간을 월·분기·연 단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근로시간 총량제'가 도입될 경우 이를 활용하겠다고 밝힌 기업은 전체의 68.4%에 달했다. 제조업에서는 70.3%가 수요를 보였고, 서비스업도 64.7%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50인 이상 기업에서 도입 수요가 가장 높았다.
직군별로는 기술개발 분야에서 총량제 수요가 두드러졌다. 기술개발 기업의 절반 이상인 52.9%가 근로시간 총량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총량제 활용 시 기대 효과로는 '특정 시기 집중 근무 가능'(49.2%), '기업 운영 유연성 확대'(40.1%), '글로벌 협업 가능'(8.9%) 순이다.
핵심 인력에 대해 근로시간 규제에서 일부 예외를 허용하는 제도에 대해서도 82.4%가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 중 24.7%는 "즉시 도입이 필요하다"고 했고, 57.7%는 "일부 조건에서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예외 규정 도입 시 기대되는 효과로는 '연구개발 속도 향상'(50.2%), '프로젝트 일정 준수'(46.2%), '기업 경쟁력 강화'(33.5%) 등이 꼽혔다.
지금 뜨는 뉴스
벤처기업협회는 "획일적인 주 52시간제는 벤처기업의 생산성과 유연성을 떨어뜨리고 글로벌 경쟁력을 약화하고 있다"며 "벤처기업이 자율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혁신을 지속할 수 있도록 연장근로의 관리 단위를 노사 합의로 '주 단위'에서 '월·분기·연 단위'로 확장하고, 연구개발 등 핵심 인력에 대한 예외 규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성민 기자 minut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