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볼모로 삼는 방식의 시위" 비판
"전장연 시위에 공개 언급한 정치인은 나뿐"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에 대해 "공공을 인질로 잡은 투쟁은 연대가 아니라 인질극"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후보는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서울 지하철 4호선, 하루 80만명이 이용하는 시민의 발"이라며 "전장연은 또다시 이 노선을 멈춰 세우고,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하려 한다"고 입을 열었다.
그는 "그들이 외치는 건 '이동권'이 아니라, '탈시설 정책 예산'이다. 정책 요구를 할 자유는 있지만 수십만명의 일상과 생계를 볼모로 삼을 권리는 없다"며 "남양주, 노원, 도봉, 성북… 서울 동북부 시민들이 매일 멈춰 선 지하철 안에서 고통받고 있다. 왜 매번 이들이 대가를 치러야 하는가"고 말했다.
이 후보는 "3년간 이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말한 정치인은 저 하나뿐이었다"며 "대부분은 침묵했다. 비판하면 '장애인 혐오자'라는 낙인을 찍는 일부 언론과 세력들이 두려웠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하지만 정치란 인기와 원칙 사이에서 결단하는 일"이라며 "지금 침묵하는 정치인들, 그들이 두려운 건 '불편한 진실'이 아니라 '자신의 표'일지도 모른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사람은 해야 할 일을 한다. 개인적 불이익과 장애, 위험과 압력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모든 도덕의 출발점이다"는 말을 인용했다.
지금 뜨는 뉴스
아울러 "지하철을 멈추게 하고 시민을 볼모로 삼는 방식은, 그 어떤 주장도 설득력을 잃게 만든다"며 "이 부조리에 침묵하는 자들이 대통령을 한다면 대한민국을 제대로 이끌 수 있겠나"고 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