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중부에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한 지 약 7시간째가 돼가고 있지만, 아직도 피해 실태 파악이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8일(현지시간) 오후 12시50분(한국시간 오후 3시20분)께 미얀마에서 강진이 발생했지만 인명 피해 규모는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고 있다.
지진으로 인한 정전, 인프라 손상과 더불어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와 반군 세력의 교전, 군사정권의 언론자유 제한, 인터넷 차단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군사정부가 2021년 권력을 잡은 후 미얀마 시민들은 인터넷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접근은 제한돼왔다.
뉴욕타임스(NYT)는 이 같은 상황에서 정전 발생과 인프라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 정보는 더욱 차단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디지털 시민권 보호 비영리단체 '액세스 나우'에 따르면 인터넷 차단은 군부에 맞서는 반군 점령 지역에서 더 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AI)의 조 프리먼 연구원은 해당 지역에서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를 이용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미얀마의 상황은 강진의 영향권 하에 있는 태국과 비교가 되고 있다. 지진 발생 지역과 1000여㎞ 떨어진 태국 방콕의 피해 상황은 SNS를 통해 알려지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태국 당국은 붕괴한 건물에서 발생한 사상자와 실종자 규모를 꾸준히 갱신해 발표 중이지만, 미얀마 당국은 구체적인 사상자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