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증권은 이번 주 달러·원 환율 밴드로 1410~1480원을 제시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10일 주간 Fx브리프 '분트발 달러 급락'을 통해 이번 주에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비롯한 인플레이션 지표, 국내 정치 이벤트를 주목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연구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등 각종 발언이 외환시장 변동성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2월 미국 CPI 등 각종 물가지표 결과가 달러화의 추가 약세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동시에 급등 추세를 보이고 있는 독일 및 일본 10년 만기 국채 금리의 추가 상승도 주목해야 할 변수"라고 짚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화지수(달러인덱스)는 지난주 트럼프 세션(트럼프발 경기침체) 우려와 독일 재정지출 확대 기대감으로 독일 국채 금리와 유로화가 급등하면서 전주 대비 3.5% 급락한 상태다. 박 연구원은 "지난 한주 유로화 가치가 4.6% 급등했다"며 "독일 10년 분트(국채) 금리가 전주 대비 43bp(1bp=0.01%포인트) 급등하면서 유로화 초강세 현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달러·엔 환율도 큰 폭으로 내렸다. 일본 국채금리가 16년 만에 1.5%를 상회하며 달러당 엔화 환율은 147엔대로 하락했다. 이는 엔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뜻한다. 중국 위안화 가치도 0.7% 올랐다. 박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조치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가)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올해 재정적자율을 사상 최대인 4%로 제시하는 등 공격적인 성장목표와 중국 빅테크를 중심으로 한 주가 랠리가 위안화 강세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지난주 달러·원 환율도 하락했다. 다만 박 연구원은 "달러·원 환율이 하락, 즉 원화 가치도 상승했지만 상승폭은 제한됐다"는 점을 주목했다. 그는 "미국발 관세 리스크와 함께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등 잇따른 신용 이벤트, 국내 정치 불확실성 리스크가 달러 급락에도 불구하고 원화 가치 상승폭을 제한했다"고 평가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어 이번 주 달러·원 환율 밴드를 1410~1480원으로 제시하면서 "국내 정치 불확실성 리스크가 중요한 분수령을 맞이할 수 있어 달러·원 환율 흐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잇따르고 있는 국내 신용 이벤트의 확산 여부도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요일인 지난 7일 종가 기준 달러·원 환율은 1449.5원을 기록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