럿 차관 성명 통해 입장 밝혀
中 보복 가능성...태국인 생계 영향 우려
최근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은 위구르족 중국 강제 송환 조치에 대해 태국 정부가 국익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는 7일 로이터통신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연합과 로이터에 따르면 럿 차리짠 태국 외교부 차관은 전날 성명을 통해 "위구르족을 제3국으로 보내면 많은 태국인의 생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국의 보복에 직면할 수 있다"며 "중국 송환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럿 차관은 일부 국가가 태국에 구금 중인 위구르족을 수용하겠다는 제안을 한 바 있다고 밝혔다. 이는 제3국의 수용 제안 사실을 부인했던 태국 정부의 이전 입장과 달라진 것이다.
다만 그는 "그런 제안은 위구르족을 제3국으로 보낼 경우 중국과 생길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로부터 태국을 보호해주지 않기 때문에 비현실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위구르족 재정착을 제안한 국가는 밝히지 않았다. 또 중국이 취할 수 있는 보복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이 위구르족을 받아들이겠다는 뜻을 전했다. 하지만 5일, 중국을 화나게 할 수 있다는 우려에 태국이 응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부총리 겸 국방부 장관은 이와 관련해 위구르족을 받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제3국이 없었다고 말했다. 태국 당국은 지난달 27일 11년간 구금해온 위구르족 40명을 중국으로 강제 송환했다.
이들은 2014년 중국에서 탈출해 튀르키예로 망명을 시도하던 중 경유지인 태국에서 적발된 300여명 중 일부다. 태국은 이듬해 이들 중 109명을 중국으로 강제 송환했고, 173명은 튀르키예로 보냈다.
위구르족은 중국 신장웨이우얼 자치구에 주로 거주하는 무슬림 소수민족이다. 중국이 위구르족을 박해한다고 주장해온 미국 등 서방국과 인권단체들은 중국으로 돌아간 위구르족이 위험에 처하게 됐다며 태국 정부를 규탄했다.
지금 뜨는 뉴스
태국은 외국 관광객이 지출하는 금액이 국내총생산(GDP)의 약 12%에 달할 정도로 관광산업 비중이 크다. 지난해 중국을 방문한 외국인 3500만여명 중 중국인이 670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미국과의 무역 전쟁 속에 중국을 떠나 동남아시아로 생산 거점을 옮기는 기업이 늘어나는 가운데 전기차, 전자 등을 중심으로 중국의 대태국 투자도 커지고 있다.
김진선 기자 caro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