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서 건강 간식으로 인기
K드라마 주목받으며 김밥도 화제
K푸드의 주역으로 주목받으며 '검은 반도체'라고 불리는 김이 수출효자로 등극했다. 연평균 수출액 성장률이 두자릿수를 기록할 정도로 전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의뢰해 분석한 '10년간 K-푸드 수출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조미김 수출액은 6억3000만달러(약 9100억원)에 달한다. 조미김의 연평균 수출액 성장률은 11.3%다.
김은 수산물 중 수출 1위 품목이다. 지난달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김 수출액은 지난해 수산식품 수출액 30억3000만달러(4조3000억원) 중 약 3분의 1 수준에 해당하는 9억9700만달러어치(1조4000억원) 팔렸다. 2위인 참치(5억9000만달러), 3위인 고등어(90000만달러)를 훌쩍 뛰어넘는 금액이다.
한국 김은 지난해 세계 김 시장에서 점유율 73%로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경쟁국인 중국(24%), 일본(2%) 등을 압도적으로 제쳤다. 수출국도 2010년 60개국에서 지난해 기준 124개국으로 늘었다.
한국 등 동북아 국가들은 김을 익숙한 식사 반찬으로 생각하지만, 해외에선 다소 생소한 음식이었다. 하지만 김이 혈당 조절, 항암 효과 등에 도움된다는 사실이 주목받으면서 건강한 간식으로 해외에 알려지게 됐다. 이에 CJ제일제당, 대상 등 국내 식품업계에서는 짭짤한 맛의 조미김뿐 아니라 칠리맛, 비비큐맛, 고추냉이맛 등 현지 맞춤형 소스를 버무린 김스낵으로 해외 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김 수출액 증가에는 김밥 등 김 가공식품의 인기도 큰 역할을 했다. 2023년 8월 한국 음식을 리뷰하는 틱톡커 '세라 안'이 어머니와 함께 한국 김밥을 시식하는 영상이 조회수 1000만 이상을 넘기며 화제가 된 덕분에 미국에서 냉동김밥 품절대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영상에서 세라 안은 미국 식료품 체인점 트레이더 조스(Trader Joe’s)에서 판매하는 냉동김밥을 먹는 방법을 소개했다.
당시 미 NBC 방송은 트레이더 조스 관계자를 인용해 "K팝과 K드라마 열풍이 불면서 (김밥 등 K푸드에 대한) 문화적 노출이 매우 컸다"며 "트레이더 조스 직원들도 냉동김밥의 블록버스터급 인기에 매우 놀랐다. 냉동김밥이 전국적으로 매진되면서 미국인들은 H마트 등 한인 마트를 찾기 시작했다. 품절 대란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금 뜨는 뉴스
실제로 김밥 등이 포함된 쌀가공식품의 지난해 수출액은 대폭 성장했다. 지난해 12월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쌀 가공식품의 지난 한 해 수출액은 2억9920만달러로 전년(2억1700만달러)보다 38%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만 수출액이 51.0% 늘어났다.
박현주 기자 phj03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