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25 찾은 과기정통부 장관
"中 기술력에 충격…인재 확보 서둘러야"
삼성에 기술 보호 넘은 '스타트업과 소통' 주문
백악관 방문 계획도…"FCC 위원장과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상임 장관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5'(MWC 2025) 참관 후 중국 IT 기업, 특히 화웨이의 급성장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국내 인재 유출 방지와 유치를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5일(현지시간) 현장에서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화웨이 부스를 방문했는데 소재·부품 영역에서 좋은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제품들이 많았다"며, "5G 분야의 안테나 기술이나 하드웨어 성능이 미국과의 경쟁에도 손색이 없어 보였다"고 평가했다.
그는 "중국은 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에서 맞설 만한 자본, 인력, 국가적 지원을 모두 갖추고 있다"면서 "화웨이만 해도 직원 20만 명 중 12만명이 연구자로서 기술력 향상에 매진하는 상황인 반면, 우리나라는 충분한 자금도 부족하고 고급 인력은 훨씬 적은데다 빠져나가고 돌아오지 않는 구조를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내 AI 기술력에 관해서는 "딥시크 수준까지는 금방 올라갈 수 있고, 환경만 주어진다면 훨씬 더 진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우리를 대표하는 파운데이션 모델이 필요하고 컴퓨팅 자원 확보가 시급한데, 국내 상황이 어려워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삼성전자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해온 것은 대단한 노하우"라며 "이 시대에 힘을 내서 AI 반도체 분야를 석권했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표현했다. 이어 "단순히 빅컴퍼니로서 기술 보호만 하기보다는 조금 더 오픈해서 스타트업과 소통하는 형태로 해나가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MWC에서는 브랜든 카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위원장을 만나 AI, 첨단 바이오 분야 등의 연구개발이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지속적으로 진행되기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조만간 백악관을 방문해 더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또한 "보스턴과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을 방문해 수준 높은 인재들을 한국에 유턴시켜 모셔올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라며, 과기정통부의 당면 과제로 "현실적으로 인재 유출을 방지하고 해외 인재를 유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과 경제적 보상 방안 마련이 가장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바르셀로나(스페인)=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