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TPC 생산 설비 착공
국내 생산으로 수입 대체 효과 기대
애경케미칼이 아라미드 섬유 핵심 원료인 TPC(Terephthaloyl Chloride) 공장을 착공하고 내년 초부터 제품을 양산해 실적 개선에 나선다.경기침체가 장기화되는만큼 성장성이 높은 신규사업을 중심으로 전력을 다듬어 나간다는 구상이다.
TPC 공장은 애경케미칼 울산공장의 유휴 부지를 활용해 설립됐다. 올해 연말 완공 후 내년 초 양산을 목표로 한다. 생산능력은 1만5000t 규모로 향후 아라미드 시장 성장과 TPC 수요 증가 추세에 따라 생산 규모 확장을 검토할 예정이다.
아라미드는 가볍지만, 철보다 5배 이상 강하고 섭씨 500도에서도 불에 타지 않는 내열성을 갖춰 '슈퍼 섬유'라고 불린다. 자동차 타이어의 마모를 보완하는 소재로 최근에는 5G 광케이블 통신 인프라 구축에 따른 수혜로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이 때문에 아라미드의 핵심 원료인 TPC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글로벌 아라미드 수요는 지난 10년간 연평균 5%의 증가세를 보였으며, 2030년까지도 연평균 6%의 안정된 성장이 예상된다. 자동차, 항공우주, 방위 산업에서 아라미드 섬유의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시장은 큰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아라미드 섬유사는 주원료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애경케미칼의 TPC 생산은 수입대체 효과를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된다. 수입 TPC의 경우 들여오는 과정에서 굳어 버리기 때문에 이를 녹여서 활용해야 한다. 국내 생산 시엔 액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시간과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 뜨는 뉴스
애경케미칼 관계자는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글로벌 환경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며 "유해가스 발생이 없고 시간과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생산 구조는 애경케미칼은 물론 국내 아라미드 생산업체들의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