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시계아이콘04분 5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19> 이탈리아 '지디 바이라(G.D. Vajra)'

피에몬테 최고급 와인 '바롤로' 생산자
포스트 모더니스트 면모 보여준 '알베'
'키에'…잊혀진 고품종 프레이사 되살린 기념작

편집자주하늘 아래 같은 와인은 없습니다. 매년 같은 땅에서 자란 포도를 이용해 같은 방식으로 양조하고 숙성하더라도 매번 다른 결과물과 마주하게 됩니다. 와인은 인간과 자연이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우연의 술'입니다. 단 한 번의 강렬한 기억만 남긴 채 말없이 사라지는 와인은 하나같이 흥미로운 사연을 품고 있습니다. '아경와인셀라'는 저마다 다른 사정에 따라 빚어지고 익어가는 와인 이야기를 하나하나 꺼내 들려 드립니다.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AD

"금지하는 것을 금지한다!(It's forbidden to forbid!)"


1968년 5월, 전 세계는 인종주의와 성차별, 반전(反戰), 환경오염 등 다양한 사회 문제와 부조리에 맞서 시대의 변화를 촉구하는 68운동의 열기로 가득했다. 68운동의 물결은 프랑스를 넘어 이탈리아까지 확산했고, 피에몬테주(州)의 중심도시 토리노 시내에도 사회 변혁에 대한 뜨거운 열망을 품은 학생 시위대로 넘쳐났다.


열다섯의 알도 바이라(Aldo Vaira)도 시위대의 한 가운데에 있었다.


거대한 사회운동인 68운동은 정부를 향한 시위대의 요구가 충분히 관철되지 않으면서 단기적으로 실패하는 모양새로 마무리됐다. 하지만 이후 다양한 사회 개혁의 사상적·정신적 토대로 작용하며 20세기 후반 정치·사회·문화적 지형의 전면적 변화를 불러왔다는 점에서 종국엔 성공한 혁명으로 기억되고 있다.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지디 바이라(G.D. Vajra)'의 설립자 알도 바이라(Aldo Vaira)

알도의 68운동도 싱겁게 끝났다. 하지만 그가 품고 있던 변화에 대한 열망은 다른 방향으로 표출, 종국엔 혁신이라는 결과를 만들어낸다.


이탈리아 '와인의 왕'으로 불리는 바롤로 지역 와이너리 창립자인 알도는 68운동 당시 국방부 소속 공무원이었던 아버지에게 붙잡혀 조부모가 살던 피에몬테의 작은 마을 바롤로(Barolo)로 보내진다. 도시 소년에게 강제 유배와 다름없던 조치였지만 이야기는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간다. 조부모의 농장에서 여름을 보낸 알도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력에 큰 감명을 받았고, 포도나무와 들판 사이에서 보내는 삶을 선택하기로 마음먹는다.


1970년대 이탈리아 농촌의 청년들은 도시로 떠나고 있었다. 알도의 귀농은 시대의 흐름과 반대되는 결정이었고, 가족들이 우려를 내비친 것도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하지만 알도의 뜻은 굳건했다. 1971년 당시에는 찾아보기 어려웠던 유기농·자연주의적 농법을 지향하는 '토양과 건강(Suolo e Salute)'이라는 모임에서 활동하며 바롤로 지역에 친환경 농법을 도입하는 선두주자 역할을 하겠다고 마음먹은 것이 결정적이었다.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지디 바이라의 '브리코 델레 비올레(Bricco delle Viole)' 포도밭 전경.

이듬해인 1972년, 알도는 '지디 바이라(G.D. Vaira)'라는 이름을 내걸고 와이너리 운영을 시작한다. 아버지 주세페 도메니코 바이라(Giuseppe Domenico Vaira)의 이름에서 따온 이름이었다. 시작은 순탄치 않았다. 1972년은 알도와 바롤로 모두에게 기억에 남는 해였다. 그해 바롤로 지역 작황은 역사에 남을 만큼 좋지 못했고, 젊은 양조가에게도 첫 빈티지는 아픈 기억으로 남았다. 그는 그럭저럭 간신히 와인을 만들어내는 데 만족해야 했다.


무엇보다 와인 라벨에 브랜드명이 'G.D. Vaira'가 아닌 'G.D. Vajra'로 잘못 인쇄되는 일이 발생한다. 하지만 이미 너무 많은 지출을 한 알도는 이를 수정하지 못하고 그대로 와인을 출시하게 된다. 재미있는 것은 알도가 이후에도 오타를 수정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는 우연히 발생한 실수를 새로운 혁신의 계기로 삼기로 하고 오타인 제이(j)가 들어간 '지디 바이라(G.D. Vajra)'를 밀어붙였고, 지금까지 50년 이상 정식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자존심 '네비올로'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방의 대표 포도 품종 '네비올로(Nebbiolo)'

지디 바이라가 자리 잡은 피에몬테 지방의 바롤로 와인은 토스카나(Toscana) 지방의 '키안티 클라시코(Chianti Classico)', 베네토(Veneto) 지방의 '아마로네(Amarone)'와 더불어 흔히 이탈리아의 3대 와인으로 꼽힌다.


'산기슭'이라는 뜻을 지닌 이탈리아 북서부의 피에몬테는 알프스 자락에 있다. 언덕과 산이 알프스에 겹겹이 둘러싸인 탓에 피에몬테의 포도밭 중 평지로 공식 분류되는 곳은 5% 이하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포도밭은 방향과 입지조건, 고도가 제각기 다를 수밖에 없는데 그에 맞는 품종을 고르는 일도 중요해졌다.


피에몬테는 프랑스의 부르고뉴(Bourgogne)와 여러 면에서 궤를 같이하는 지역이다. 두 지방의 와이너리 모두 작은 규모와 세심한 관리가 특징이며, 수 세기 동안 가톨릭 베네딕토회의 강력한 영향을 받으며 와인 전통이 형성되기도 했다. 무엇보다 두 지역은 같은 신념을 공유하는데, 해당 지역에서 최적화된 단일 포도 품종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부르고뉴는 피노 누아(Pinot Noir)를, 피에몬테는 네비올로(Nebbiolo)를 선택했고, 지금까지 위대한 와인들을 만들고 있다. 두 지역의 선택을 받은 두 품종이 프랑스와 이탈리아 와인의 섬세함과 우아함을 대표하는 품종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안개가 낀 지디 바이라의 '브리코 델레 비올레(Bricco delle Viole)' 포도밭 전경.

네비올로는 이탈리아어로 안개라는 뜻의 '네비아(Nebbia)'에서 유래했다. 잘 익은 네비올로 껍질에서 유독 많이 발견되는 흰 분이 마치 안개처럼 보여서 네비올로라고 불렸다는 설이 있고, 수확기 피에몬테 지역을 뒤덮는 가을 안개에서 이름을 따왔다는 이야기도 있다. 네비올로는 피에몬테에서 재배하는 다른 품종들 사이에서 가장 먼저 싹을 틔우지만 10월 말까지 기다려야 충분히 익는 만생종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피에몬테 지역에선 네비올로를 심을 때 조금이라도 더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구릉지, 그중에서도 남서향 포도밭을 선호한다.


네비올로는 수확량이 피에몬테 전체 포도 재배량에서도 15% 안팎에 불과할 정도로 많지 않고, 피에몬테를 제외한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이곳에서 빚어낸 고혹적인 자태의 와인에 적합한 고품질의 포도를 성공적으로 생산해낸 곳이 사실상 없다. 그만큼 네비올로는 이탈리아의 자존심과 같은 고귀한 포도다. 네비올로로 만든 와인은 선명한 루비색을 띠며, 옅은 색에도 불구하고 어릴 때는 강한 타닌이 입안을 감싸지만 나이가 들면서 기품 있는 장미와 타르 등의 아로마와 풍미를 갖춰간다.


이러한 네비올로 품종으로 가장 명성이 높은 곳이 바로 바롤로다. 바롤로 와인은 100% 네비올로 품종으로 만들어지는데, 바롤로는 마을 이름인 동시에 이곳에서 생산된 와인의 명칭이기도 하다. 바롤로의 포도밭은 주로 해발 300~500m의 남향 경사지에 자리 잡고 있다. 고도로 인해 포도가 서서히 완숙돼 체리와 허브, 장미 등의 아로마를 발현한다. 바롤로는 규정상 양조 후 최소 38개월 동안 숙성해야 하며, 이 중 18개월은 오크 숙성을 반드시 진행해야 한다.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지디 바이라 바롤로 브리코 델레 비올레(G.D. Vajra Barolo DOCG Bricco delle Viole)'
'제비꽃 언덕'서 빚어낸 바롤로

지디 바이라의 대표 와인도 역시 네비올로로 만든 바롤로다. 이 가운데 '지디 바이라 바롤로 브리코 델레 비올레(G.D. Vajra Barolo DOCG Bricco delle Viole)'가 와이너리의 대표작이다.


피에몬테의 최상급 보도밭에는 '브리코(Bricco)'라는 이름이 많이 붙는다. 이는 이 지역 방언으로 '햇볕이 잘 드는 언덕 꼭대기'라는 뜻이다. '제비꽃 핀 언덕'이라는 의미를 담은 '브리코 델레 비올레'는 바롤로 마을 서쪽 끝에 위치해 있고, 해발 400~480m에 걸쳐 있어 지디 바이라의 포도밭 중 가장 높고 알프스에 가깝다. 이 밭은 알도 바이라가 처음 포도 재배를 시작한 포도밭으로, 그는 이 밭을 두고 "우리에게 인내심을 가르쳐 주고, 지디 바이라 양조 스타일의 틀을 구축하게 해준 밭"이라고 평가하며 특별한 애정을 보이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브리코 델레 비올레는 서늘한 고도로 포도가 천천히 완숙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아주 섬세한 캐릭터의 와인을 생산할 수 있는 네비올로가 생산된다. 바롤로 브리코 델레 비올레는 잘 익은 자두와 블랙체리 향이 약간의 미네랄 터치와 함께 굳건하고 파워풀한 타닌의 맛이 느껴진다. 지디 바이라의 바롤로 중 강인하고 남성적인 스타일을 지닌 와인으로 평가된다. 완벽하게 익은 네비올로 포도의 맛과 이를 뒷받침 해주는 산도의 균형감이 뛰어나며 긴 여운을 남긴다. 생산량도 연간 1만2000병 정도로 많지 않다.


'지디 바이라 바롤로 알베(G.D. Vajra Barolo DOCG Albe)'는 조금 더 편하게 마실 수 있는 바롤로로 꼽힌다. 지디 바이라의 바롤로 가운데 가장 어릴 때 마시기 좋은 우아한 스타일의 맛과 향을 가지고 있다. 바롤로 알베는 피에몬테 지방의 전통적인 양조법에 따라 큰 슬로베니아 오크통에서 숙성시키고 산뜻한 산미와 꽃향, 생동감 있는 타닌과 과일 맛의 균형을 염두에 두고 만드는 와인이다. 과일 향이 풍부하고 부드럽지만 단단한 골격과 긴 여운을 느낄 수 있으며, 빈티지에 따라 10~20년 이상 숙성 가능하다.


특히 바롤로 알베 2020 빈티지는 지난해 전세계 와인 애호가들의 이목이 쏠리는 와인 스펙테이터(Wine Spectator)의 ‘올해의 100대 와인’ 에서 9위를 차지했다. 이는 3위에 오른 안티노리 티냐넬로 2021(Antinori Toscana Tignanello)에 이어 이탈리아 와인 중 두 번째로 높은 순위고, 바롤로 중에선 가장 높다.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지디 바이라 바롤로 알베(G.D. Vajra Barolo DOCG Albe)'

혁신의 DNA…잃어버린 품종을 찾아서

혁신을 꿈꿨던 알도는 네비올로를 활용한 바롤로 와인 양조에만 집중하지 않았다. 피에몬테의 생산자들은 우수한 떼루아를 지닌 포도밭에 주로 고급 품종인 네비올로만 심었다. 양질의 땅에 고품질의 포도를 심었을 때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알도는 우수한 떼루아의 작은 포도밭 구획을 의미하는 'MGA(Menzioni Geografiche Aggiuntive)' 인증을 받은 포도밭에 지역의 토착 품종인 돌체토(Dolcetto)와 바르베라(Barbera)를 재배해 해당 품종으로 양조한 와인의 품질도 끌어올렸다. 이밖에 피에몬테 지역에선 최초로 독일 청포도 품종인 리슬링(Riesling)을 식재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이어오고 있다.


지디 바이라는 프레이자(Freisa)이라는 품종을 되살려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프레이자는 피에몬테 지방의 오래된 토착 품종으로 지디 바이라가 관심을 갖기 전까지 사실상 잊혀진 품종이었다. 프레이자는 최근 연구결과를 통해 네비올로와 유전학적으로 가장 유사한 품종으로 밝혀졌는데, 지디 바이라는 이 품종을 오랜 기간 연구하고 재배해 '지디 바이라 프레이자 키에 랑게(GD Vajra Freisa Langhe DOC Kye)'라는 고품질 와인으로 탄생시켰다.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지디 바이라 프레이자 키에 랑게(GD Vajra Freisa Langhe DOC Kye)'

와인의 이름인 '키에(kye)'는 일종의 언어유희로 이탈리아어 '누구인가?(Chi e?)'를 활용해 작명했다. 잊혀가던 토착 품종 프레이자를 활용한 와인에 대한 농담이자 이 와인을 통해 품종의 복원에 대한 의지와 지역의 정체성을 담아내고자 한 이름이다. 프레이자 100%로 만든 키에는 바롤로와 달리 어두운 가넷색을 띠며, 신선한 체리와 허브 향, 약간의 흙 내음을 느낄 수 있다. 입 안에선 잘 만든 네비올로 와인처럼 섬세한 부케와 실크같이 부드러운 타닌이 인상적인 와인이다. 연간 6000병가량 한정 생산돼 희소성도 갖추고 있다.


고령이 된 알도의 와이너리는 이제 다음 세대를 바라보고 있다. 그의 세 자녀는 모두 부모의 유산을 이어받아 전통을 이어나가고 있다.


알도는 말한다.


AD

"오스트리아 제국 출신의 작곡가 구스타프 말러는 '전통은 재를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불꽃을 전달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우리 와이너리는 항상 새로운 꿈과 연구, 발견, 희생, 삶, 기쁨으로 만들어졌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입니다."


[아경와인셀라]'제비꽃 언덕'에서 빚은 伊 '바롤로의 왕' 지디 바이라의 랑게(Langhe) 마을 포도밭 전경.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1811:30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100대 기업 여성 정규직 5명 중 1명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100대 기업 여성 정규직 5명 중 1명

    "머슴살이를 해도 대감집에서 하라." 좁아진 취업문 앞에 취업 준비 청년들 사이에서 회자하는 자조적 속담이다. 어차피 일해야 한다면 복지와 급여가 좋은 회사에서 일하는 게 낫다는 의미에서다. "최고의 복지는 일자리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 서울 관악종합고용지원센터를 찾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남긴 말이다. 이명박 정부의 정책 성패를 떠나 이 문구는 16년이 지난 지금도 정치권과 경제계 등에서 애용된다.

  • 25.06.1811:30
    대기업도 금융사도…여성 평균연봉, 여전히 남성 70% 수준
    대기업도 금융사도…여성 평균연봉, 여전히 남성 70% 수준

    근속연수와 연봉은 특정 기업의 양성평등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가장 직관적인 지표다. 그러나 한국은 주요 선진국 가운데에서도 성별 임금 격차가 가장 크다. 고연봉·좋은 처우로 대표되는 대기업조차 예외는 아니다. 양성평등지수 조사 대상인 100대 기업과 37개 금융사에서 여성 평균 연봉은 남성의 70% 수준에 그쳤다. 100대 기업 여성 평균연봉 7400만원…'연봉킹' SK텔레콤지난해 말 기준 국내 매출 상위 100대 기업의 여성

  • 25.06.1811:30
    뿌리 깊은 '채용 성차별' 인식…블라인드 방식 등 변화 시동
    뿌리 깊은 '채용 성차별' 인식…블라인드 방식 등 변화 시동

    기업의 양성평등은 채용에서부터 시작된다. 이는 특정 성별을 우대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성별에 관계없이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실력 있는 인재를 선발하자는 취지다. 성평등 채용은 인사 과정의 공정성과 다양성을 높이는 가장 기초적인 출발점이다. 여성가족부와 경제단체들이 공동 발간한 '성평등 일자리, 차별 없는 채용이 만듭니다' 안내서에 따르면, 성평등 채용이란 채용 전 과정에서 합리적 이유 없이 성별을 채용

  • 25.06.1811:30
    한국, 성별 임금 격차 OECD 1위…"공시 의무화" 목소리도
    한국, 성별 임금 격차 OECD 1위…"공시 의무화" 목소리도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고질적인 문제로 꼽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매년 회원국의 성별 임금 격차를 비교하는데, 한국은 1996년 가입 이후 매번 1위를 기록했다. 2023년 기준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29.3%로 2위인 일본(22%)과도 큰 차이를 보였다. OECD 평균은 11.3%, 유럽연합(EU) 27개국 평균은 9.4% 수준이다. 한국과 일본을 제외하면 임금 격차가 20%를 넘는 국가가 없다. 성별 임금 격차가 발생하는 배경은 다양

  • 25.06.1711:30
    "남자들도 무조건 쉬어라" 하는 회사도 있다는데…공시 의무에 '男육휴' 확산 기대
    "남자들도 무조건 쉬어라" 하는 회사도 있다는데…공시 의무에 '男육휴' 확산 기대

    국내 상장사는 매년 '사업보고서'를 통해 경영 전반을 결산한다. 사업 개요부터 재무 상태, 지배구조, 이사회 구성, 임직원 현황 등을 아우른다. 특히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에게 기업의 성과와 방향성을 전달하는 중요한 자료다. 올해 초 공시된 2024년도 사업보고서부터는 새로운 항목이 추가됐다. 육아지원제도 및 유연근무제도 사용 현황이다. 저출생 문제 대응과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을 위해 지난해 11월 기업공시 서식을 개

  • 25.06.2010:01
    수치로 본 변화…'韓日 산업 파트너십 60년'
    수치로 본 변화…'韓日 산업 파트너십 60년'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로 국교가 정상화된 이후 60년 동안 양국 간 산업 협력은 양적·질적 전환을 거쳐왔다. 한국무역협회가 20일 발표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기업협력 보고서'에 따르면, 양국 교역 규모는 1965년 2억 달러에서 2024년 772억 달러로 352배 확대됐다. 1960년대 한국은 주로 원자재와 경공업 제품을 일본에 수출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수입하는 수직적 분업 구조에 있었지만, 최근에는 IT·중화학 제품을

  • 25.06.2009:51
    韓·日 뭉치면 세계 판도 바뀐다…"약점 채우는 최적의 조합"
    韓·日 뭉치면 세계 판도 바뀐다…"약점 채우는 최적의 조합"

    한국과 일본, 닮은꼴 두 나라가 나란히 변곡점에 섰다. 저출산과 고령화, 노동력 부족이라는 구조적 위기와 수출 중심 성장모델의 한계가 동시에 불거지며, 양국의 경제 시스템은 근본적인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 여기에 미·중 기술패권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외부 충격까지 더해지며 이제는 개별 대응이 아닌 '공동 시장'으로의 협력 전략이 절실해졌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양국의 경제 규모를 합치면 미국과

  • 25.06.2009:32
    "첨단·에너지·스타트업까지…구조적 '한일 협력' 시너지 절실"
    "첨단·에너지·스타트업까지…구조적 '한일 협력' 시너지 절실"

    "지난해 한국에 진출한 일본계 기업의 80.4%가 흑자를 기록했다. 반도체, 바이오헬스, 에너지, 탈탄소, DX(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수요가 높다고 생각한다." 마에가와 나오유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제트로) 서울소장은 20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은 교류가 단순한 거래를 넘어 구조적인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그는 2022년 8월 한국에 부임해 양국 산업계와 긴밀히 접촉해 왔다. 이처럼

  • 25.06.2009:32
    "고령사회 대응, 한일이 함께해야 실질적 성과 낼 수 있다"
    "고령사회 대응, 한일이 함께해야 실질적 성과 낼 수 있다"

    "2025년은 일본의 베이비부머 세대인 '단카이 세대'가 75세 이상 고령자로 진입하는 해다. 한국의 헬스케어, 시니어 관련 산업이 일본에 진출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다." 박용민 코트라(KOTRA) 일본지역본부장은 20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일본 내 고령자 산업의 수요 확대와 한국 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에 주목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2040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일본 전체 인구의 약 34.8%(3928만명)를 차

  • 25.06.2007:00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2109:00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이 이란을 대상으로 한 군사작전에 '라이징 라이언(Rising Lion·일어서는 사자)'이라는 작전명을 붙이면서 그 배경과 의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작전명은 구약성경 민수기 23장 24절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구절은 "백성이 암사자 수사자 같이 일어나서 잡힌 것을 먹고 죽은 것의 피를 마시기 전에는 눕지 않을 것이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자는 고대부터 이스라엘 왕국의 상징이었으며, 이번 작전명

  • 25.06.1506:00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관계가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취임 초기 '브로맨스'로 불릴 정도로 가까웠던 두 사람은 극심한 갈등을 거쳐 최근 다시 화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들의 관계 변화는 단순한 개인적 불화를 넘어 미국 정치와 산업계 전반에 큰 파장을 미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는 2024년 대선 당시 절정에 달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을 전적으로 지원하며 선거 승리에

  • 25.06.1408:00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학교를 겨냥한 전방위적 압박에 나서면서 전 세계 유학생들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문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버드대의 진보적 성향과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몇 주간 세 차례에 걸쳐 하버드 대학교 유학생 등록을 막고 비자 발급을 취소하려 했지만, 매번 미국 연방법원의 제동에 부딪혔다. 하

  • 25.06.1109:50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서울대 정치학부 교수가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해 "이재명 정부의 첫인사는 무난했다. 문재인 정부 첫인사보다 낫다"고 평가했다. 지난 10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강 교수는 "당장은 경제가 급하지만, 이 대통령이 국가의 장기 발전과 관련한 인프라를 깔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입법권이 사법권을 침해하는 듯한 모양새를 연

  • 25.06.0707:30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최근 미국 월가에서 '타코(TACO)'라는 신조어가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멕시코 음식 타코가 아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장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기자에게 "무례하다"며 강하게 반발한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조롱하는 영상들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월가의 신조어 타코는 'Trump Always Chicken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