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회서 개헌론 띄운 오세훈
국힘 의원 3분의 1 집결
정책 이슈 선점·세 모으기 나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개최한 개헌 토론회에 여당 의원들이 대거 모여 이목을 끌었다. 여당의 유력한 잠룡으로 꼽히는 오 시장이 정책 이슈를 선점하는 동시에 세 모으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오 시장은 국회도서관에서 '87체제 극복을 위한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를 열고 "대한민국이 국가적 위기에 처했는데 위기를 더 좋은 기회로 삼으려면 개헌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국민의힘 의원 30여명이 집결했다. 전체 의원의 3분의 1에 가까운 규모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김상훈 정책위의장, 이양수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가 총출동했다. 당 개헌특별위원장을 맡은 주호영 의원과 개헌론을 꺼내든 안철수 의원 등 여당 중진 혹은 주축 의원들이 참석해 자리가 없을 정도였다. 당내 비주류로 분류되는 김상욱, 김예지 의원이나 원외 당협위원장들도 눈에 띄었다.
사실상 대선 몸풀기에 나선 오 시장이 여권 인사들을 대거 모아 정치적인 존재감을 드러냈다는 평가다. 토론회에 앞서 오 시장은 여당 의원 전원에게 직접 초청장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당 차원에서도 조기 대선을 공론화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오 시장의 움직임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다만 오 시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사실상 대권 행보가 아니냐는 질문에 "동의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관련 질문은 계속 이어졌다.
당 일각에선 곱지 않은 시선도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여의도 정치판에 의리가 사라진 지 오래됐고 이익만이 판치는 이익집단이 난무하다"며 "지금의 여의도 정치는 동지보다 이익이 우선하는 적도 동지도 없는 정상배(정치가와 결탁하거나 정권을 이용해 사사로운 이익을 꾀하는 무리) 시대이기 때문에 나라가 혼란한 것"이라고 에둘러 비판했다.
원외 인사인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회에서 토론회와 비슷한 시간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심리 중인 헌법재판소의 공정성 문제로 공개 활동을 재개한 것이다. 그는 지난해 7·23 전당대회에서 낙선한 이후 공개 석상에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았다. 조기 대선 행보로 봐도 되겠냐는 물음에 "내일 헌법재판소 변론기일이 끝날 수도 있어 시급성 때문에 오늘 나온 것"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강경 보수층을 공략한 메시지를 낸 것으로 해석된다.
오 시장은 이날 개헌론의 핵심으로 '지방분권'을 언급했다. 지방 소멸을 극복하기 위한 국가 발전 전략으로서 개헌 논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정치 구조 문제 해소에 초점을 맞춘 개헌론을 띄우는 다른 대선 주자들과의 차별화에 나선 셈이다. 오 시장은 "국가의 먼 미래를 내다보고 무엇이 대한민국의 퀀텀 점프를 가능하게 하는 논의가 될 수 있느냐를 고민하는 자리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구체적으로 예산과 인력, 규제 등 '3대 권한'을 지방에 이양하는 방향을 제시했다. 오 시장은 "각 지역이 독자적인 발전 전략을 수립·실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권한을 지방에 이양해야 한다"며 "국세와 지방세 비율을 조정하고 자원과 행정 인력을 균형 있게 재배치하는 등 보다 과감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