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6개 유망 구조 탐사시추 해봐야"
"중국, 일본도 석유·가스 개발 추진 중"
대통령실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개발 사업인 '대왕고래 프로젝트'에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7일 "동해 심해가스전 전체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이번 잠정 결과는 대왕고래에 대한 단정적 결론이 아니며, 나머지 6개 유망 구조에 대한 탐사 시추도 해 봐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첫 번째 탐사 시추에서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고, 가이아나는 14번, 동해가스전은 1987년부터 1998년까지 10년 넘는 기간 동안 11번의 탐사시추 끝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이번 동해 심해가스전도 발표 당시 적어도 5번의 탐사계획을 밝혔고 나머지 유망구조에 대해서 탐사시추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메이저 석유 회사들은 동해 심해 가스전의 개발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며, 투자에 관심이 많은 상황인 만큼, 올 상반기 내에 기업 투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정부 예산 지원 없이 해외 투자유치만으로 추가 탐사를 진행할 경우 우리에게 불리한 조건으로 진행돼 국익에 손실이 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서해 보하이해 유전 개발), 일본(대왕고래 인근 동해 시추 재개)에서도 인근 해역에서 국가적 역량을 동원, 석유·가스 개발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대왕고래 구조 시추 작업에서 가스 징후를 일부 잠정적으로나마 확인했지만, 규모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었다"며 "경제성을 확보할 수준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직접 대국민 회견에 나서 발표할 정도로 기대했던 사업이다. 하지만 정부가 반년도 되지 않아 사실상 탐사 시추 실패를 언급하면서 윤 대통령의 발표가 섣불렀던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지금 뜨는 뉴스
대통령이 이날 입장문을 통해 "실패가 아니다"라고 밝힌 것도 이같은 지적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아직 유망 구조 6개가 남아있는 만큼 전체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예단하긴 이르다는 평가도 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