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관세 문제가 세계적인 화두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6일 오후 타마라 모휘니(Tamara Mawhinney) 주한 캐나다 대사와 만나 양국 간 공동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 25%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예고했다가 시행 하루 전인 지난 3일, 한 달간 유예를 결정했다. 하지만 중국산 수입품 전반에 대한 10% 추가 보편 관세 부과는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중국도 오는 10일부터 석탄·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관세를 추가로 물리기로 맞대응한 상태다.
경기도는 이런 상황에서 캐나다와 관세 대응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는 점에서 이날 만남의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앞서 지난 3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우려했던 관세전쟁이 시작됐다"면서 ‘트럼프 2기 비상 대응 체제’ 즉시 가동과 함께 ▲여·야·정 합의로 ‘경제전권대사’ 조속히 임명 ▲수출방파제 구축 ▲신속한 ‘추경 편성’ 등 3가지를 정부와 정치권에 촉구했다.
경제전권대사는 조기 대선 후 새 정부 출범까지의 전환기에 트럼프 행정부 또는 국제경제 상황에 신속 대처하는 역할을 맡은 사람을 의미한다. 김 지사는 올해 신년 기자회견서 처음 이를 제안했으며 다보스 포럼, 언론 인터뷰 등에서 여러 차례 시급성을 촉구하고 있다.
수출방파제는 김 지사가 제안한 관세·환율·공급망 재편 대응 방안으로 수출용 원자재 수입 관세 한시적 폐지,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무역보험 및 환변동보험 지원 한도 무제한 지원, 수출 전략 산업의 첨단생산설비와 연구개발(R&D) 투자에 외투기업 준하는 보조금 지원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강민석 경기도 대변인은 "캐나다 대사와의 만남은 김 지사가 보여 온 글로벌 경제 행보의 일환"이라며 "경기도와 캐나다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신(新)경제질서에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비상 상황에도 변치 않는 경제ㆍ산업의 상생 파트너로서, 기후변화 대응 분야의 구체적 협력방안 등도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 지사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사태 후 세계 정치지도자와 주요 외국인 투자자 2500여명에 긴급서신을 보낸 데 이어 필립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회장, 필립 반 후프 주한유럽상공회의소(ECCK) 회장, 필립 베르투 주한 프랑스대사 등과 만나 한국의 저력 등에 대해 설명했다.
또 지난달에는 세계 경제올림픽이라 불리는 다보스포럼에 한국 정치인 가운데 유일하게 참가해 세계 경제지도자, 기업 대표, 미디어들과 만나 한국의 상황을 설명하고 한국 경제의 잠재력과 회복탄력성을 알리는데 주력하는 등 글로벌 경제 행보를 했다.
한편 경기도와 캐나다는 2022년 9월 모휘니 대사의 대사대리 시절 경기도 방문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추진해왔다. 2023년 5월에는 쥐스탱 트뤼도 총리 및 모휘니 대사가 김동연 지사와 함께 가평전투지 숲길 조성 기념행사에 참석해 양국의 협력을 공고히 했다.
지금 뜨는 뉴스
경기도는 현재 자매지역인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와의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2023년 5월 데이비드 이비 BC주 수상이 경기도를 방문해 자매결연 4차 실행계획을 체결한 데 이어 지난해 5월에는 김 지사가 BC주를 방문해 자넷 오스틴 주총독과 데이비드 이비 주수상과의 면담을 통해 심도 있는 교류를 확대하고 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