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오픈AI CEO의 견제…"딥시크, 가성비'는' 인상적"

시계아이콘00분 4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다른 부분 성능은 언급 X
"中딥씨크 주장 독립 연구기관 검증 필요"

세계 인공지능(AI)업계에서 화제가 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을 두고 챗지피티를 만든 오픈AI의 수장이 '가성비(가격대 성능비)'는 좋다고 평했다. 미묘한 견제가 오가며 신경전이 벌어지는 모양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27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 X(옛 트위터)에 딥시크 R1모델을 두고 "제작 비용을 고려한다면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와 함께 "우리가 훨씬 뛰어난 모델을 내놓을 것"이라고 견제했다. 딥시크라는 새 경쟁자가 나타나 고무적이라고 밝혔지만, 확실하게 인정한 부분은 '가성비' 뿐이었다.


미국 AI업계는 딥시크가 오픈AI나 구글 등의 미국 빅테크가 만든 AI모델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AI를 개발한 점을 호평하고 있다. 동시에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최신 칩 'H100'을 대량으로 사용한 점을 숨기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는 등 신뢰하지 못하는 시선도 나온다. R1의 성능이 오픈AI의 모델을 실제로 능가하는지 독립된 연구기관의 검증을 거쳐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딥시크는 가성비가 아니라 성능이 이미 더 뛰어나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전날 자체 기술 보고서를 통해 문장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분야에서는 자신들의 야누스(JANUS) 최신 버전이 오픈AI의 달이(DALL-E)와 영국 스태빌리티AI의 '스테이블 디퓨전' 모델을 앞선다고 주장했다. 훈련 과정에서 데이터 품질을 개선하면서 생성 이미지 안정성이 향상됐고 미세한 표현도 수월해진 점이 확인됐다는 주장이다.


딥시크 측은 야누스 최신 버전에 추가된 고품질 합성 이미지 7200만개를 실제 데이터와 결합해 더 나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AD

다만 AI 업계 일각에선 딥시크가 언급한 평가 기준이나 시험 환경, 실제 활용사례와 안정성 등을 검증해야 한다는 반론도 나온다.

오픈AI CEO의 견제…"딥시크, 가성비'는' 인상적"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X 공식 계정 캡쳐
AD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