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2025년 해양수산부 업무 추진 계획’
해양수산부가 상반기 중 수산물 할인행사 예산의 80%를 투입해 물가 관리에 나선다. 올해 안으로 국적선사의 친환경 선박 비중도 최대 10%까지 확대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후변화 복원 해역 지정에도 나선다.

13일 해양수산부는 이런 내용의 ‘2025년 해양수산부 업무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해수부는 올해 상반기 중 전체 할인행사 예산(1000억원)의 최대 80%를 투입하고, 할인행사 사각지대에 있던 기초지자체 최대 56곳에 직거래장터를 운영해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완화하기로 했다. 또 품목별 수급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김은 외해 시험 양식(1000ha)과 기존 양식장의 김 양식업으로의 전환을 허용하여 공급 기반을 확대한다.
친환경 선박 비중도 대폭 늘린다. 현재 7.8%인 국적 외항선의 친환경 선박 비중을 2025년 10%까지 확대하기 위해 국적 선사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을 강화한다. 아울러 한-미 녹색 해운 항로 구축 로드맵을 발표해 글로벌 탄소규제를 물류산업 도약의 기회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스마트항만 국산 기술 확보를 위해 광양항 스마트항만 테스트베드를 7월에 착공하고, 올해부터 완전 자율운항 선박 기술 개발을 위한 예비 타당성 조사도 추진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고수온 피해 최소화에도 집중한다. 상습피해 해역을 기후변화 복원해역으로 지정하고, 양식장을 이전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한다. 양식업은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등 인프라를 확대해 8월부터 양식 면허 심사·평가제도를 본격 시행한다. 또 유휴 마을 어장을 청년과 민간 기업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참여 제도를 도입해 어선(25척)과 양식장 임대(20개)도 지속 추진하여 청년 등 신규 인력의 수산업 진입을 지원한다.
수산물 수출 확대도 나선다. 2022년 31억5000만달러를 기록한 역대 최고 수산 식품 수출액을 경신하기 위해 맞춤형 수출전략을 수립하고, 수산 식품 수출기업 100개 사를 대상으로 한 수출바우처 지원사업 및 해외무역 지원센터 다변화를 추진한다.
지금 뜨는 뉴스
연안 경제 도약을 이끌 해양 신산업 육성에도 나선다.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해양플랜트 시설은 약 1700개 규모로 향후 10년 이내에 10조원에 육박하는 재활용·해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해양플랜트 신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착수하기로 했다. 또 국내 기업이 개발한 고망간강의 활용범위를 확대하여 우리나라가 해외에 지급하고 있는 친환경 선박 신소재 로열티 비용(약 3조2000억원)을 절감한다. 아울러 해양레저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복합 해양레저관광 도시 사업 대상지 2개소를 상반기 중 선정한다.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