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그린란드 야욕엔 "무력병합 아냐"
J.D. 밴스 부통령 당선인이 2020년 미국 대선 결과 불복으로 이듬해 빚어진 ‘1·6 의회 폭동’ 사태와 관련해 당시 폭력사범들은 사면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밴스 당선인은 12일(현지시간) 방영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1·6 의회 폭동’ 사면 문제는 "매우 간단하다"면서 "평화롭게 시위했음에도 메릭 갈런드 법무부 장관의 법무부에 의해 갱단 취급을 받은 사람들은 사면돼야 하지만 그날 폭력을 저질렀다면 당연히 사면받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다만 밴스 당선인은 "(1·6사태 관련 폭력 시위자와 비폭력 시위자 사이에) 약간의 회색 지대가 있다"며 "우리는 평등한 법 집행에 매우 전념하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많은 사람이 1·6 사태 후 부당하게 기소됐기에 그것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1·6 의회 폭동 사태는 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해 트럼프 당선인의 극렬 지지자들이 워싱턴 D.C. 의회 의사당에 난입한 사건이다. AP통신은 "해당 사건으로 100명 이상의 경찰관이 다치고 1500명 이상의 시위대가 연방 범죄 혐의로 기소됐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사면과 관련해 밴스 당선인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약간의 온도 차가 드러난다. 지난 대선 기간 이들에 대한 대대적인 사면을 예고해온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시사주간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도 ‘1·6 사태 피고인 모두를 사면하기로 결정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했다. 다만 폭력행위를 자행한 사람도 사면 대상에 포함할 것이냐는 추가 질문에는 "사안별로(case-by-case) 살펴볼 것이고 매우 신속히 진행할 것"이라며 확답을 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해 밴스 당선인은 무조건적인 사면을 기대한 지지자들의 여론 악화를 의식한 듯 "트럼프가 각 사건을 개별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한 것은 물러서는 것이 아니다"며 "장담하건대, 우리는 부당하게 수감된 사람들을 걱정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밴스 당선인은 이날 트럼프 당선인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덴마크령 그린란드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그는 "미국의 안보를 지키고 엄청난 천연자원이 개발되도록 하는 데 있어 우리가 리더십을 보여줄 진정한 기회가 있다"며 "트럼프는 거래에 능하다. 그린란드에서 이뤄질 거래가 있다"고 평가했다.
지금 뜨는 뉴스
다만 국제 사회의 우려를 자아냈던 트럼프 당선인의 무력 편입 시사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밴스 당선인은 "우리는 그린란드가 미국의 안보 관점에서 적절히 관리되고 있는지를 분명히 해야 한다"면서도 "이미 그린란드에 미군이 주둔 중이기 때문에 그린란드에 대한 군사력 사용은 필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