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물가안정목표 기준 등 통화정책 운용 방식이 변경됨에 따라 정책 대응이 달라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 주현도 한국은행 조사국 재정산업팀 차장이 한국경제학회 경제학연구에 게재한 '부문별 인플레이션을 이용한 테일러 준칙 추정'에 따르면 통화정책 운용 방식에 따라 중앙은행의 정책 대응이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등 세계 주요국에서 통화정책의 기본 모델로 활용하고 있는 테일러 준칙에 의하면 기준금리를 결정짓는 건 주로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다. 중앙은행은 금리를 결정할 때 주요 고려 요인인 GDP 갭(실제 경제성장률-잠재 경제성장률)과 인플레이션갭(실제 물가상승률-목표 물가상승률)에 가중치를 부여해 금리를 조정한다.
한은은 시기에 따라 각 수치에 다른 가중치를 두고 금리를 결정해왔다. 2004~2006년(초기) 물가목표의 대상 지표는 근원물가지수였다. 근원물가에는 농산물 및 석유류 물가가 반영되지 않아 당시에는 중앙은행이 GDP 갭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인플레이션 갭보다 경기 안정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대상 지표를 소비자물가지수(CPI)로 변경했던 2007~2015년(중기)에는 초기보다 인플레이션 갭에 대한 반응도가 높아졌다. 부문별로는 중앙은행이 해당 기간에 가격 경직성이 높은 서비스업 부문 인플레이션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관심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목표를 범위가 아닌 기준선(2%)으로 설정했던 2016년부터 지난해 4월까지(후기)는 인플레이션갭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2022년 전후로 전세계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 흐름에 중앙은행이 적극적으로 대응한 결과로 해석된다. 해당 시기에는 부문별 인플레이션이 고르게 반영돼 통화정책이 운용된 것으로 추정됐다.
인플레이션 압력에 따라 통화정책 대응은 비대칭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후 인플레이션 압력이 음수(인플레이션이 2%를 하회)일 때는 GDP 갭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양수(인플레이션이 2%를 상회)일 때는 인플레이션 갭에 강하게 대응했다.
주 차장은 "중앙은행은 통화정책 결정 시에 부문별 인플레이션 움직임을 검토하고 종합적인 판단을 내리지만, 지금까지 테일러 준칙을 이용해 통화정책 반응을 추정할 때 이러한 중앙은행의 행태를 온전히 반영하지 못했다"며 "부문별 인플레이션을 이용해 테일러 준칙을 추정하는 것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