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평촌·산본에 공급…이주용으로 활용 뒤 공공분양
국토장관 "1기 신도시 이주가구 수용할 주택총량 충분"

정부가 1기 신도시 재건축을 위해 분당·평촌·산본 유휴부지에 '주민 이주 지원용 주택'(이하 이주주택)을 7700가구 공급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은 아파트를 이주용으로 활용한 이후 리모델링해서 공공분양하는 방식을 활용한다.
18일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토부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1기 신도시 생활권별로 재건축 이주가구를 수용할 주택공급 총량이 충분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분당에 사는 분들이 이사 갈 수 있는 지역 내에서 진행되는 정비사업, 인허가 물량을 지자체와 협의해 뽑아봤더니 총량적으로는 이사 수요보다 신규 입주 물량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주주택을 공급하는 곳은 분당, 평촌, 산본으로 1기 신도시 안이나 인근 유휴부지에 모두 770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일산과 중동은 주변에 주택 공급이 많아 별도로 이주주택을 지어야 할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국토부는 내년부터 유휴부지에 새로 집을 짓기 시작하면 선도지구 재건축이 진행돼 이주가 시작될 때 이주민들이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경기도는 이주 지원용 주택 공급을 위해 보건소 부지인 성남 분당구 야탑동 일원(0.03㎢)을 이달 23일부터 2026년 12월 22일까지 2년 동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선도지구 재건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이를 통해 늘어난 물량으로 2차·3차 이주 수요를 소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2차 재건축 지구부터는 별도 이주대책을 세우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다.
박 장관은 1기 신도시 재건축이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기에 향후 동력이 약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 "선도지구 재건축을 예정대로 추진할 것"이라며 "1기 신도시 재건축은 여야 모두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고, 총선에서도 여야가 공히 같은 공약을 걸어 여야 합의로 법이 통과됐다"고 답했다.
지금 뜨는 뉴스
지자체별 선도지구 선정 물량은 분당 1만948가구, 일산 8912가구, 평촌 5460가구, 중동 5959가구, 산본 4629가구 등 총 3만5897가구다. 별도 물량으로 선정한 2개 구역을 포함하면 총 3만7266가구다. 국토부는 1기 신도시 선도지구의 '2027년 착공, 2030년 입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