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에 따른 항공업 영향’ 보고서 발간
국내 양대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으로 글로벌 10위권의 메가캐리어(초대형 항공사)가 탄생한 가운데, 국내 항공운송산업에도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노선 재분배 및 신규 노선 개발로 지나친 가격 경쟁이 줄고 규모의 경제를 이뤄 운항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18일 삼일Pw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에 따른 항공업 영향’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항공사 대형화가 이뤄지며, 여객 부문에서는 공급 능력(제공 노선 및 서비스 확대)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양사 산하의 진에어, 에어서울, 에어부산 등 저비용항공사(LCC) 통합에 따라 LCC 내 점유율 1위(41%)로 등극하면서 규모의 경제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보고서는 합병으로 인한 항공산업의 대형화를 통해 ▲항공사 간 불필요한 좌석 가격 경쟁 감소를 비롯해 ▲규모의 경제로 인한 수익성 개선 ▲외부 변수에 대한 민감도 약화 ▲재무구조 개선 효과 등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규모의 경제를 이루려면 항공사 간 협력에서 통합 및 합병에 이르기까지 전략적 선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FSC의 경우 산하의 통합 LCC를 통해 글로벌 노선을 확장하거나 노선 밀도를 제고하고, 여객 부문에서는 좌석 클래스 등 서비스의 차별화 및 고도화가 필요하다”며 “LCC는 장거리 노선 진출에 이어 국내 주요 LCC들과의 인터라인 협정 및 파트너십을 통해 여객 수용능력(CAPA)을 늘리는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항공운송 탄소배출 규제 강화가 심화하면서 이에 대한 선제적 대비도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지속가능항공유(SAF)의 의무사용 규제가 2027년부터 본격화될 예정이다. 고객 편의 확대 및 운영 프로세스 효율화를 위해 디지털 전환 및 운영 환경 고도화 및 관련 투자도 요구된다.
아울러 보고서는 국내 항공산업이 경기 상황과 외부 변수에 따른 부침이 크고 탄소배출 규제 강화에 따른 비용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항공산업에 금융 및 세제지원, 인센티브 강화 등 적극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원치형 삼일PwC 운송물류산업 리더(파트너)는 “내년에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점이 부담이지만, 항공산업에서 인수합병(M&A)은 대체로 해당 기업과 산업에 긍정적 효과를 불러왔다”며 “이번 양사 통합으로 국내 항공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순조로운 통합 과정과 국내 항공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실효성이 있는 정부 지원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지금 뜨는 뉴스
보고서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삼일PwC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