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연합 국제 콘퍼런스 개최

재생에너지, 원전, 수소, 탄소포집활용저장(CCUS)을 포함하는 개념인 무탄소에너지(.CFE)를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느냐가 미래 국가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왔다.
18일 더플라자호텔 서울에서 열린 '2024 CF연합 국제 콘퍼런스'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 첨단 산업으로 인해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지금 CFE 이니셔티브가 공급 안정성, 비용 효과성 측면에서 기업들에 유리하다는 데 입장을 같이했다.
대한상공회의소, CF연합이 공동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한 이날 행사에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 이회성 CF연합 회장, 노부오 타나카 전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 데이비드 샌들로우 전 미국 에너지부(DOE) 차관보 등 국내외 기후·에너지·산업 분야의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했다.
CFE 이니셔티브는 ‘특정 에너지원’(수단)이 아닌 '탄소 감촉'(목적) 달성을 위한 기술 중립적인 캠페인으로서 지난해 9월 한국이 국제사회에 제안한 바 있다. 콘퍼런스 참석자들은 사용 전력(스코프2) 외에도 산업공정(스코프1)의 무탄소 전환 실적을 포괄적으로 인정하는 만큼, 제조업이 많고 탄소 다배출 업종 중심인 한국이 글로벌 규범을 주도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뜻을 같이했다.
이회성 CF연합 회장은 개회사에서 "CFE 이니셔티브는 경제 시스템 전반의 무탄소화를 지향하는 캠페인으로서, 무역장벽으로 작동하고 있는 탄소규제 극복을 위한 실질적인 이행 수단이며, 선진국과 개도국의 기후 위기 대응 공조를 촉진하는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안덕근 장관은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가 ‘CFE 이니셔티브’를 국제사회에 제안한 지 1년여 기간 동안 12개 국가 및 국제기구의 지지와 함께 5개 국가·국제기구(한국·일본·UAE·체코·IEA)가 참여하는 CFE 글로벌 작업을 출범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노부오 타나카 전 IEA 사무총장과 데이비드 샌들로우 전 DOE 차관보, 에릭 깁스 미국 청정에너지구매자연합(CEBA) 부회장은 대담 및 토론을 통해 "세계 에너지 소비구조의 청정화 및 AI 등 첨단산업의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재생·원전 등 다양한 무탄소 전력의 공급능력을 얼마나 확충할 수 있는지가 미래의 국가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가 될 것"임을 역설했다. 또한, 앙리 파이에르 국제원자력기구(IAEA) 경제분석 부장은 "원전을 포함한 저 비용의 청정전력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의 필수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 삼성전자, 포스코 등 기업이 참석해 첨단 산업의 탄소 중립 방안을 제시했다. 또 미 국가재생에너지연구원(NREL)이 미국 전력 탈탄소화 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청정수소 활용 조기화 방안, 권이균 공주대 교수가 한국의 CCUS 잠재력 활용 방안 등을 소개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산업부와 CF연합은 내년에는 글로벌 작업반을 통해 스코프2 및 스코프1 부문의 CFE 인증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 내년 한국에서 개최되는 APEC 정상회의’및 ‘청정에너지 장관회의(CEM)를 계기로 CFE 이니셔티브를 전 세계로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