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모임 "특정 업체 계약 집중"
시교육청 "입찰 과정 개입 못해"
광주시교육청이 추진 중인 ‘글로벌 리더 세계 한바퀴’ 사업이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사업의 용역업체 계약이 특정 여행사 두 곳에 몰렸다는 교육단체의 지적이 나오면서다.
16일 광주시교육청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등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올해 15개의 학생교류사업을 추진했다.
시민모임은 "시교육청이 지난해 12개 학생 국제교류사업에서 올해 15개로 확대하면서 전체 예산이 20억원을 넘었다"며 “그런데도 특정 여행사에 사업 계약이 집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시민모임이 나라장터(G2B)를 통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올해 여행사 4곳과 계약했는데, A·B 두 업체가 16개 사업 중 각각 5개씩을 맡았다.
총 입찰금액은 23억1,383만원. 이 가운데 A업체가 7억6,500여만원, B업체가 7억5,500여만원으로, 전체 금액의 33.1%, 32.6%를 차지한다.
시민모임은 “유럽 문학기행 사업의 경우 2억원짜리 사업에 A·B업체 간 입찰 금액 차이가 고작 100만원에 불과했다”며 “두 업체가 주고받기식으로 낙찰받고 있지는 않은지 의심이 드는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또 “1억~2억원대 예산이 투입된 두 개 사업은 수의계약 방식으로 추진됐는데, 이는 관련 법령을 무리하게 해석한 결과로 보인다”며 “시교육청은 특정 업체에 계약이 집중되는 문제에 대해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학생 민주·인권 국제교류사업에서도 입찰자격 변경을 통해 특정 업체에 특혜를 제공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고 강조했다.
시민모임은 “국제교류사업에 이권이 개입되는 것은 아닌지, 살림을 너무 헤프게 쓰는 건 아닌지 의혹과 함께 걱정이 크다”며 “시교육청은 의혹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해당 사업을 철저히 감사하고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교육청이 스스로 돌아보고 고칠 기회를 놓친다면, 감사원 공익감사청구 등 수단을 강구해 학생 국제교류사업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은 사업계약 과정에 교육청이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은 없다고 밝혔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올 상반기 4회에 걸쳐 광주 소재 여행사 283곳을 대상으로 용역입찰 설명회를 열었다”며 “적격 최저가 낙찰 과정에서 어떤 금액으로 누가 참여했는지 교육청에선 알 순 없다. 공정하고 청렴하게 운영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내년에는 3년 차를 맞는 해당 사업에 대해 다양한 문제 제기를 적극 검토하고, 더 합리적으로 현명한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설명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학생 글로벌 리더 세계 한 바퀴 프로그램'은 이정선 교육감 공약사업으로, 광주지역 학생들이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며 세계 시민의식을 갖춘 미래 인재로 성장하도록 추진됐다. 올해는 △민주·인권·평화·역사 △IT(정보통신)·AI(인공지능) △문화·예술 △청소년 해외 봉사 △5·18민주화운동 세계화 △학술 탐방 등 16개 프로그램에 학생 477명이 참여했다. 광주시교육청은 내년에도 16개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