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지도부 반감도 커져
현대차그룹 부품계열사 현대트랜시스 노동조합이 ‘잔업·특근을 하지 않는다’는 지침을 어긴 조합원을 제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앞서 이 노조는 올해 6월부터 사측과 임금단체협상 교섭을 진행하면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해 한 달여간 파업을 했고 이후 내부적으로 잔업거부 방침을 정해 조합원에게 강조해왔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자택이 있는 한남동 주택가 시위를 둘러싸고도 조합원 내 비판적인 시각이 있는 상황에서 강압적인 태도를 고수하면서 조합 지도부에 대한 반감도 커지는 분위기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트랜시스 노조 지도부는 최근 운영위원회를 열고 조합원 5명을 제명했다. 지난달 11일 파업 철회 후 지도부에서 잔업·특근 거부를 지침으로 내걸었는데, 이를 수차례 어겼다는 이유를 들었다. 노조는 제명 사실과 함께 이들 조합원 실명과 소속, 찬반투표 결과도 함께 공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이 노조는 지난달 파업 기간에 자발적으로 출근한 조합원 51명의 실명과 소속을 공개하면서 제명한 적이 있다. 당시 이들을 ‘조직파괴자’로 명명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지난달 파업 철회를 결정한 후에도 조합 간부 위주로 구성된 규찰대를 꾸려 잔업·특근을 하지 못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근로자는 쟁의행위 기간 중이더라도 개인 의사에 따라 현장에 복귀해 일할 권리가 있다는 게 전문가 견해다. 노조 차원에서 위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위력을 행사해 이를 억압하는 건 불법행위로 간주한다. 직원 사이에서도 성토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직장인 커뮤니티에는 ‘제명 조합원이 처음부터 파업에 동참 안 했나’ ‘노조가 고용불안, 노노갈등을 조장한다’ ‘제명된 이가 조직파괴자면 지도부는 회사파괴자냐’ 식의 게시글이 여럿 올라와 있다.
트랜시스 노조 내 갈등은 지도부 차원에서 주택가 시위를 강행하면서 촉발됐다. 교섭 과정에서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회장 자택에서 시위를 이어가고 있으나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해선 부정적인 평가가 많다. 파업을 마치고 협상을 재개하는 상황이라면 새로운 전략이나 방식을 고심해야 하는데 애먼 주택가 시위만 고집한다는 얘기다.
노조에서는 현수막이나 피켓을 내거는 등 게릴라성 시위를 지난 10월 하순부터 시작해 그간 10여차례 진행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자극적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시위를 이어가면서 임단협과 무관한 인근 주민이나 상인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 회사는 장기간 파업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만회하기 위해 지난달 11일부터 비상경영체제에 들어갔다. 경영진 등 전 임원은 연봉 20%를 자진 반납하기로 했다. 이 회사 노조는 기본급 15만9800원 인상과 지난해 회사 전체 영업이익의 두 배 수준인 매출의 2%(약 2400억원)를 성과급으로 요구하면서 협상이 지난한 상황이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