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당사자 참여 요청에 민주당·정부 수용
시, 열린대화방·무안비전토론회·여론조사 중지
‘12월 데드라인’ 철회…“향후 논의 성과 집중”
광주 민·군공항 통합 이전 문제가 새 국면을 맞게 됐다. 그동안 논의 중심에 광주시·전남도·무안군 3자에 그쳤던 것이 중앙정부와 정치권까지 가세한 것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6일 시청에서 기자들과 차담회를 갖고 “민·군공항 통합 이전 문제가 광주시·전남도·무안군을 넘어 중앙정부와 정치권도 또 다른 당사자로 참여하게 됐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민주당에서는 ‘광주·전남상생발전TF(전담팀)’ 구성을, 중앙정부에서는 국무조정실 주관 ‘범정부협의체 운영’을 재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광주·전남상생발전TF’에서 광주·전남의 공동 과제인 ▲에너지 ▲행정과 신산업 ▲민·군공항 통합 이전 등을 주요 어젠다로 다룰 계획이다.
이날 광주를 방문한 김민석 민주당 수석 최고위원은 “강기정 시장이 제안한 민주당 차원의 ‘군공항 특위’ 구성을 고민하던 중 보다 시야를 넓히고 논의 폭을 풍성하고 유연하게 할 수 있도록 군공항에 국한하지 않고 광주·전남의 더 큰 비전을 모색하자는 데 의견이 모아져 ‘광주전남상생발전TF’를 구성하게 됐다”고 말했다.
중앙정부 차원에서는 국무조정실이 12월 중 국무1차장 주재로 광주시·전남도·무안군·국방부·국토부·행안부 등이 참여하는 ‘범정부협의체 실무회의’를 개최키로 했다. 실무회의 이후엔 더 높은 단위의 ‘범정부협의체 회의’를 마련할 예정이다.
강 시장은 민주당과 중앙정부가 광주시의 요청에 화답함에 따라 민·군공항 통합 이전 문제가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됐다고 판단, 그동안 펼쳐왔던 활동들을 잠정 연기 또는 중지하기로 했다.
먼저 무안군민과의 소통·홍보 창구였던 ‘열린 대화방 운영’을 중단한다. 12월 초 예정했던 ‘공항도시 무안 미래비전 토론회’와 ‘여론조사’도 중지한다. 또 논의의 틀이 중앙정부와 정치권으로 확대된 만큼 ‘12월 데드라인’도 철회했다.
지금 뜨는 뉴스
강 시장은 “민주당에 ‘군공항특위’ 구성을 요청했는데, 당 차원에서 많은 토론과 숙의 과정을 거쳐 ‘광주전남상생발전TF’ 구성으로 결정한 것 같다. 이 TF에서 주요 어젠다로 민·군공항 통합 이전이 다뤄질 것이다”며 “시는 민·군공항 통합 이전 문제가 민주당·중앙정부로까지 논의 틀이 확대된 만큼 이 틀에서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힘을 모아가겠다”고 강조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