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세와 함께 '보호무역주의 강화' 우려가 커지며 달러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18일 이주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환율 움직임에서 확인되듯 당분간 금융시장에선 미 대선 이슈가 지배적일 것이다. 대선 이후 환율 방향성 및 변동성 완화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란·이스라엘 갈등 우려가 다소 완화됐지만,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이 관세를 '가장 아름다운 말'이라고 표현하는 등 보호무역 기조를 강조한 것이 달러 강세 압력으로 작용했다. 미국의 9월 소매 판매 등 실물지표가 호조를 보이며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시기가 늦춰질 것이란 전망도 퍼졌다.
반면 유럽중앙은행(ECB)은 지난 6월과 지난달에 이어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했고, 영국은 물가상승률 둔화로 영란은행(BOE)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면서 유로화와 파운드화가 약세다. 이 연구원은 "다음 주 발표될 S&P PMI 지표에서 미국과 여타국 간 성장 격차가 더욱 벌어질지,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 증가로 고용 둔화 우려가 재부각될지 여부가 달러 강세 추세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라고 짚었다.
지금 뜨는 뉴스
중국발 변수도 주목할 요소다. 부양 관련 기대가 유지되고 다음 주 발표될 한국 3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견조할 경우, 달러·위안 및 달러·원 환율에 하방 압력을 실어줄 수 있을지도 확인해야 한다. 이 연구원은 "이날 3분기 성장률 발표와 다음 주 중국인민은행의 대출우대금리 결정, 이달 말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한국의 국회 격) 상임위 등 일정이 예정돼 있다"며 "특히 전인대 상임위에서 승인될 경기부양 규모가 시장 평균 전망치인 2조~3조 위안에 부합하는지가 위안화 환율의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