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C테크나우]맨홀·산단 등 숨은 메탄 찾아라…韓, 배출량 9.8% 감소

시계아이콘01분 0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온실가스 배출량 중 메탄 4%
90년대 배출량 대비 감소세
발전소·매립지 등 배출원 다양
2030년 30% 감축안 마련 시급

[C테크나우]맨홀·산단 등 숨은 메탄 찾아라…韓, 배출량 9.8% 감소
AD

환경부 온실가스 종합정보센터가 지난달 공개한 ‘2023년 국가 온실가스인벤토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6억7660만t(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 이하 동일)으로 1990년도보다 131.6% 증가했다. 이중 이산화탄소가 91.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메탄의 비중은 4.0%였다.


2021년 기준 메탄 총배출량은 2730만t으로 1990년 3020만t 대비 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로는 0.8% 증가했다. 국내 메탄 배출량이 감소 추세를 보인 것은 벼 재배 면적이 줄어든 것과 가정용 고체 연료 사용의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분야별로 총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농업이 43.0%로 가장 크며 이어 폐기물(30.9%), 에너지 분야(23.8%), 산업공정(2.3%)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메탄 배출량이 감소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국제 메탄 서약이 정한 대로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30%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메탄 배출원을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 일부에서는 환경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서 누락된 배출원이 다수 존재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C테크나우]맨홀·산단 등 숨은 메탄 찾아라…韓, 배출량 9.8% 감소

실제로 정수종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의 최근 연구 결과 국내 도심 내 발전소, 매립지, 하수처리시설, 복합쇼핑몰, 맨홀, 하수구, 노후주택, 산업시설, 식당 등 다양한 메탄 배출원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정 교수 연구팀이 서울의 786개 맨홀을 조사한 결과, 259개(33%)에서 메탄이 배출되고 있었다. 주거지역에서도 노후된 도시가스관을 통해 메탄이 새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천 액화천연가스(LNG) 복합화력발전소, 인천 송도 LNG 생산시설에서도 메탄 누출이 관측됐다.


올해 1월 서울대와 국립환경과학원, 국립기상과학원, 충남보건환경연구원은 위성, 항공기, 차량, 지상 관측소 등을 통해 충남 대산산업단지 내 메탄가스 배출량을 파악하는 카니퍼(CANIFFER)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미항공우주국(NASA),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유럽우주국(ESA)이 해외 협력 기관으로 참여했다. 이는 세계 최초의 석유화학산업단지 온실가스 배출 입체관측 캠페인이라는 게 연구단의 설명이다. 그 결과, 대산산업단지에서는 일반 대기의 15배가 넘는 메탄이 관측되기도 했다.



정 교수는 현재 울산과 여수 석유화학 산업단지 내의 메탄 배출량을 관측하는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울산 산단에서는 최대 3376ppb(1ppb=10억분의 1), 여수 산단에서는 2228bbp의 고농도 메탄을 확인했다. 정 교수는 "메탄 배출량 산정을 고도화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며 "산업단지 메탄 배출을 감축하면 기업 입장에서는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탄소 중립에 기여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