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대표이사 박용근)은 26일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대내외 상황으로 지속가능성의 우선순위를 단기적으로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는 탈탄소화 및 넷제로를 가장 중요한 전략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 포함 전 세계 21개국의 CEO 1200명을 대상으로 한 최신 ‘EY CEO 아웃룩 펄스’ 조사 결과, 한국 기업 CEO의 40%는 경기 둔화 또는 재정난 때문에 1년 전보다 지속가능성의 우선순위를 낮췄다. 6%는 이사회 우선순위에 집중하기 위해 지속가능성의 우선순위를 낮췄다. 한국 CEO 절반에 가까운 46%가 지속가능성을 단기 우선순위에서 밀어낸 것이다.
다만 한국 CEO의 26%는 1년 전보다 지속가능성을 우선시하고, 28%는 비슷한 수준으로 지속가능성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밝혔다. 글로벌 CEO 응답자 중에선 54%가 1년 전보다 지속가능성을 중요시하고, 18%는 우선순위를 낮춘 것으로 조사돼 한국 기업 CEO들보다 환경·사회·거버넌스(ESG) 및 지속가능성에 더욱더 적극적이었다.
향후 3년간 가장 우선시할 전략으로는 글로벌 CEO와 한국 CEO 응답자 모두 ‘탈탄소화 및 넷제로 달성’을 1위로 꼽았다. 글로벌 CEO의 절반에 가까운 43%가 탈탄소화 및 넷제로 달성을 가장 중요한 장기 전략으로 지목했다. 다만 한국 CEO는 28%만 이같이 응답했다. 한국 CEO들은 넷제로 외에도 매출확보 및 새로운 수익원 창출(28%), 기술 혁신 투자(28%), 데이터 관리 및 사이버 보안 개선(22%) 등도 중요 장기 전략으로 꼽았다.
글로벌 기관 투자자 3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별도 조사 결과, 글로벌 기관 투자자의 28%는 기업 투자 시 1년 전보다 지속가능성을 우선해 보고 있고, 36%는 1년 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하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36%는 거시경제, 규제 당국의 감시 강화, 경기 둔화 등으로 우선순위를 낮춘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기업 CEO들은 지속가능성 어젠다를 추진하도록 독려하는 데 가장 도움이 될 정부 정책으로 ‘그린 기술 투자 보조금 지원 및 세금 감면’(55%)과 ‘재생에너지 인프라 등 지속 가능한 인프라에 대한 정부 투자’(48%)를 꼽았다. 응답자 절반은 탄소배출량 감축과 공시 미이행에 대한 재정적 불이익이 지속가능성 독려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재흠 EY한영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 경영 서비스(CCaSS) 리더 겸 ESG 임팩트 허브 리더는 “전 세계 경제 불황 영향으로 국내외 기업들의 ESG 관심이 줄고 있다는 분석이 있지만, 이는 치열한 글로벌 경쟁 심화로 인한 착시 현상일 수 있다”며 “실제로 이미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환경, 사회적 무역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ESG 역량 강화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그는 “현재 비용면에선 ESG경영을 실천하기 녹록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단순 공시 대응으로 접근하기보다, 새롭게 제정되는 글로벌 ESG 공시 제도에 맞춰 장기적인 지속가능성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지속가능성 및 비재무적 사항들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