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 고소득층 비율 가장 높아…85%
올해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의대 신입생 10명 중 6명은 연간 1억원이 넘는 고소득 가정의 자녀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장학재단에서 제출받은 올해 1학기 '전국 39개 의과대학 신입생 국가장학금 학자금 지원구간별 신청 현황' 자료를 보면, 신입생 1821명 중 학자금 지원구간이 최상위 9·10구간인 학생은 전체 61.7%인 1124명으로 집계됐다.
국가장학금은 가구 소득에 따라 국고로 대학 등록금을 차등 지원하는 제도다. 재단이 가구의 월 소득과 부동산 등 재산 수준을 따져 본 뒤 월 소득인정액을 산출해 기초·차상위·1~10구간으로 나눈다. 9·10구간은 장학금을 받을 수 없고 8구간 이하에만 지급한다.
올해 9구간의 월 소득인정액 경곗값은 1145만9826원 초과다. 1년으로 환산하면 1억3751만원을 넘는 수준이다. 다만 이는 부동산과 차량 등 모든 재산을 합친 환산액으로 실제 매달 소득과는 차이가 있다.
대학별로 살펴보면, 9·10구간 신입생 비중이 가장 큰 의대는 아주대(85.0%)로 나타났다. 이어 이화여대(77.4%), 성균관대 및 울산대(각각 75.0%), 서울대(74.3%) 등 순이었다. 충북대(37.0%)가 가장 적었다.
기초·차상위계층은 전체 73명(4.0%)에 그쳤다. 순천향대가 6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가톨릭대 ▲경희대 ▲단국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인하대 ▲전북대 ▲중앙대 ▲한양대 9개교(23.0%)는 한 명도 없었다. 가톨릭대 등 일부 의대는 5년 내내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기초·차상위계층 신입생이 없었다.
지금 뜨는 뉴스
매년 의대 신입생 국가장학금 신청자 중 9·10구간 비율은 2020년 58.9%, 2021년 59.2%, 2022년 62.3%, 2023년 67.2%로 상승했지만, 올해 61.7%로 감소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