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고3 '사탐런'에…의대 수능 최저 충족 '비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5월 학평서 과탐 응시율 최저 기록
의대, 수시 인원 줄어 정시 이월 가능성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보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중 과학 탐구 응시생 비율이 최근 4년간 최저를 기록했다. 의대 신입생이 1509명 증원된 상황에서 과학 탐구 응시자 규모가 줄면 최상위 4%로 고정된 1등급 인원도 줄어들기 때문에 의대를 준비하는 최상위권 수험생들의 고민이 커졌다.


지난 8일 경기도교육청 주관으로 실시된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에서 과학 탐구 응시율은 44.1%로 현 수능 체제가 도입된 지난 2021년 시험 이후 4년 새 가장 낮았다. 지난해 치러진 2024학년도보다 3.8%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같은 시험을 기준으로 과학 탐구 선택 비율은 2022학년도 44.8%에서 2023학년도 46.3%, 2024학년도 47.9%로 2년 연속 증가했는데, 올해(2025학년도) 처음 감소했다.


고3 학생 중 과학 탐구 응시 비율 감소 현상은 올해 3월 학평부터 두드러졌다. '의과대학 열풍'으로 '이과 선호'가 강화되는 추세에서 이례적인 결과다. 수학 역시 마찬가지다. 문·이과 통합형 수능이 도입되면서 이과생이 주로 응시하는 미적분과 기하 응시 비율이 지난해 5월 학평 48.4%에서 올해 47.7%로, 3년 만에 줄었다.


중하위권 이과생이 학습 부담 때문에 과학 탐구 대신 사회탐구를 선택하는 '사탐런'이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이런 학생은 수능 최저 등급을 맞춰 수시에 지원하거나 정시에서 탐구 선택에 차등을 두지 않는 중하위 대학에 목표를 둔 학생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중앙대, 경희대 등 서울 주요 대학은 여전히 수학 미적분·기하, 과학 탐구 응시생에게 가산점을 주거나 과학 탐구 응시자만 지원할 수 있다. 사탐런을 한 학생들은 지원할 수 없거나 지원해도 불이익을 받는다는 이야기다.


고3 중하위권 이과생의 '사탐런'이 늘면서 의대 등을 노리는 최상위권 이과 재학생이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등급을 확보하기가 지난해보다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임 대표는 "2025학년도에 의대 모집인원이 늘어났고 지역인재 선발 전형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의대 등을 목표로 하는 최상위권 학생들이 수시에서 수능 최저 등급을 확보하는 일이 지난해보다 어려워질 수 있다"며 "이럴 경우 수시에서 학생을 뽑지 못해 정시로의 이월 인원이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