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문화 등 전반에 관한 점검 필요성
"수사 요청 절차적 체계 구축할 필요 있어"
전국에서 공무원들이 잇달아 숨지면서 공직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경기 김포시 공무원 A씨가 민원인 스트레스 등과 관련해 숨지는 사건이 발생한 데 이어 서울 자치구에서도 고위직 B씨와 6급 C씨가 숨지는 사건이 이어지면서 가족은 물론 동료 공직자들이 힘겨운 상황에 놓였다.
이는 공직사회에 여전히 남은 갑질 문화 등 병폐의 결과라는 시각도 있지만, 속 시원한 조사 결과는 나오지 않고 있어 주변인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이런 사건이 발생할 때만 사회적인 관심을 보일 게 아니라 제도적인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서울 자치구 고위 관계자 B씨가 지난달 숨진 사건은 서울시 선·후배는 물론이고 공직사회에 충격으로 다가왔다. 평소 심성을 고려할 때 그러한 선택을 할 인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더 답답해하는 분위기다. 고인을 잘 아는 한 인사는 “너무 착한 분이었는데 왜 이런 선택을 했는지 제대로 된 조사와 수사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서울 자치구 C팀장도 이달 1일 세상을 떠나면서 구청 내에서 자체 조사 등이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팀장의 안타까운 선택에 대해서는 친인척이 언론 등에 전하면서 외부로 알려졌고, 공직사회가 또 하나의 충격을 경험하고 있다.
서울시와 자치구 차원에서 공동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서울시 자치구 한 관계자는 “이런 극단적인 사건이 발생하면 공동조사기구를 구성해 철저하게 조사해야 한다”면서 “책임 있는 자에 대해서는 수사 기관에 수사를 요청하는 절차적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지금은 가족이 직접 나서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다. 사건 당사자 가족이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지 않을 경우 억울한 사연이 제대로 규명되지도 않은 채 묻히는 경우도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확산하고 있다.
박종일 기자 dre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