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금융애로 조사 결과’ 발표
시중은행 고금리·정책 금융 높은 문턱 이중고
고금리 장기화가 이어지면서 올해 들어 중견기업 10곳 중 3곳의 자금 사정이 전년 대비 악화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중은행의 높은 금리와 정책 자금의 경직적인 자격 요건으로 급격한 유동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14일 ‘중견기업 금융애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3월 4일부터 22일까지 중견기업 339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자금 사정이 개선됐다고 응답한 중견기업은 8.6%에 그친 반면, 28.6%의 중견기업은 자금 사정이 악화했다고 답했다. 자금 사정이 개선된 기업 비중도 지난해(15.7%) 대비 크게 감소했다. 자금 사정이 악화했다고 응답한 중견기업의 34.0%는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비용 증가’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매출 부진(32.0%)’, ‘생산비용 증가(16.5%)’ 등이 뒤를 이었다.
높은 금리 부담에도 절반이 넘는 중견기업들이 ‘시중은행(55.8%)’을 통해 외부 자금 조달을 하고 있었다. 이어 ‘정책금융기관(8.8%)’, ‘회사채 발행(2.9%)’, ‘보증기관(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의 29.2%는 외부 자금 조달을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외부자금 조달 기업의 87.9%는 이자 비용에 대해 ‘부담된다’고 답했다. 특히 신용등급 BBB+ 이하에선 ‘매우 부담된다’는 응답이 39.2%로, A- 이상(15.5%)의 2.5배를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 뜨는 뉴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대내외 경제 환경 악화, 실적 부진 등으로 기업 대출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고금리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돼 중견기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면서 “대출금리 우대 및 한도 확대, 중견기업 전담 지원기관·기금 마련 등 안정적인 자금 조달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정책·민간 금융기관은 물론 정부, 국회와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