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은 "여성·고령층 경제활동 유인하려면 근무여건 개선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2분 32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임금 못지않게 근무여건 중요도 상승
여성·저연령·고학력 근로자, 근무여건 양호한 일자리 다수 종사
여성, 근무여건에 따라 직업만족도 크게 달라져

한은 "여성·고령층 경제활동 유인하려면 근무여건 개선해야"
AD

여성과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를 유인하려면 국내 노동시장의 근무여건이 개선돼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성별 임금 격차 중 일부가 남녀 간 근무여건 선호도의 차이에서 기인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은행은 23일 'BOK 이슈노트:근무여건(Job amenity) 선호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에서 최근 임금 못지않게 유연한 근무조건, 업무 자율성, 발전 가능성 등 근무여건을 중요시하는 근로자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더 좋은 근무여건을 위해 임금의 일정 부분을 포기할 수 있는 근로자가 노동시장에 다수 존재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임금근로자 부가조사 자료를 보면, 직업을 선택할 때 근무여건을 주요 고려사항으로 여기는 취업자의 비중은 31.5%(2023년 기준)로 임금을 주요 고려사항으로 여기는 비중(26.8%)을 넘어섰다.


근무여건 좋은 직업, 육체 활동 적고 유연근무 가능…전문성 높아

보고서는 근무여건을 ▲유연근무 ▲재택근무 ▲육체적 강도 ▲업무강도 ▲업무자율성 ▲업무독립성 ▲발전가능성 ▲직업보람 총 8개 항목으로 나눠 직업별 지수를 산출했다. 근무여건 지수가 높을수록 직업의 근로조건이 양호하고 업무 자율성, 발전가능성, 직업보람 등 주관적 만족도가 높다.


그 결과 근무여건 지수가 가장 높은 직업은 법률 및 감사 사무 종사자, 상품 기획 홍보 및 조사 전문가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직업은 육체적 활동이 적고 유연근무, 재택근무를 활용할 수 있다. 또 높은 수준의 전문성으로 개인의 업무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반면 지수가 낮은 직업은 건설 및 광업 단순 종사자, 물품 이동 장비 조작원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직업은 육체적 활동이 수반되고, 단순 반복 위주의 강도 높은 업무가 많다.


산업별로는 정보통신, 금융보험, 교육, 전문과학기술 등에서 근무여건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은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높지 않지만 근무여건이 높은 산업으로 분류됐다. 한편 임금 수준이 높은 제조업, 건설업은 업무 특성으로 인해 근무여건 지수가 평균을 밑돌았다.


여성·저연령·고학력…근무 여건 양호한 일자리에 종사

근무 여건이 좋은 일자리엔 주로 여성·저연령·고학력 근로자들이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여성의 경우, 육체적으로 힘들지 않고, 유연한 근무 형태가 가능한 일자리를 더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제조업 생산직이나 건설업 등 임금이 높고 근로환경이 열악한 일자리에 여성이 취업하기 어려운 노동수요적 요인도 반영됐다.


연령별로는 20~40대 근로자의 근무여건 지수가 높은 반면, 50대 이상에선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층이 근무 여건에 대한 선호나 만족감은 높지만, 저연령층에 비해 낮은 교육 수준으로 취업 경쟁에서 밀린 것으로 분석됐다.


고학력, 고임금 근로자들도 근무여건이 좋은 일자리에 더 많이 조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학력, 고소득 근로자들이 육체적 능력을 덜 요구하는 인지적 일자리와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전문직 일자리에 더 많이 근무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근무 여건은 여성과 수도권 근무자의 자발적 근무, 직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은 근무 여건이 높을수록 자발적 근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수도권에 근무하는 경우, 지방보다 자발적 근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도권이 제공하는 지역 인프라 등이 일자리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됐다. 또 여성·고연령·고학력 근로자가 남성·저연령·저학력 근로자에 비해 근무 여건에 따른 직업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소득 불평등 악화되지만 남녀 임금 격차 줄어

근무 여건을 화폐 가치로 환산해 소득 불평등을 측정하면,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의 소득 불평등은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기존 해외 연구의 결과를 원용해 근무 여건을 추가로 고려한 우리나라의 소득 불평등을 추산했다. 그 결과, 소득 1분위 시간당 임금은 33.3% 증가한 반면 소득 5분위는 42.9% 상승했다. 이로 인해 소득 5분위 배율은 근무 여건 반영 전 4.0에서 반영 후 4.2로 0.2 증가했다.


반면 남성과 여성 간 임금 격차는 오히려 줄었다. 근무여건을 반영했을 때 남성의 시간당 임금이 38.8% 증가했으나 여성은 44.8% 상승했다. 이로 인해 남성 대비 여성의 소득 수준은 근무여건 반영 전 70.5%에서 반영 후 73.6%로 상승했다. 이는 여성들이 근무여건이 좋은 일자리에 더 많이 종사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수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근무여건 반영 시 남녀 임금격차가 줄어든 결과를 고려했을 때, 성별 임금격차 중 일부가 근무여건의 차이로 설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향후 우리나라는 저출생·고령화로 경제활동인구는 줄어들 전망이다. 또 전반적인 교육 수준이 높아지면서 과거 핵심연령층과 남성 위주였던 제조업 중심 노동시장이 다양성이 증대된 노동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여성과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이와 같은 변화에 따라 직업 선택 시 근무 여건이 좋은 일자리의 수요가 증가하고, 근무 여건이 나쁜 일자리의 인력 부족은 심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과장은 "여성과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를 유인하기 위해선 국내 노동시장의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기술 발전에 따라 근무방식의 변화가 자연스럽게 나타날 것으로 보이나 유연근무제 지원금, 주 52시간 근무제 등 정책적 지원도 지속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