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 지난해 86억원 영업적자…창사 후 처음
'신사업' 솔드아웃 투자가 실적 발목
카카오스타일도 적자…에이블리, 흑자 전환
무신사와 에이블리, 카카오스타일 등 국내 패션 플랫폼 3사가 지난해 희비가 교차하는 성적표를 받았다. 업계 1위인 무신사는 지난해 창립 이후 첫 적자를 냈지만, 에이블리는 수익성을 대폭 개선하며 '나 홀로' 영업흑자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각사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무신사는 지난해 연결기준 86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해 적자로 돌아섰다. 무신사의 영업적자는 2012년 창사 이후 처음이다. 매출액은 매년 성장하면서 1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로 몸집을 키웠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9931억원으로, 전년 대비 40.2% 성장했다.
무신사, 2012년 창사 이후 첫 영업적자
무신사의 첫 영업적자는 리셀 플랫폼 솔드아웃을 운영하는 에스엘디티(SLDT) 등 자회사들의 영업손실이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SLDT는 지난해 288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다만 2022년 420억원을 웃돌던 영업적자는 일부 줄었다. SLDT는 직원 복지를 줄이는 한편, 인원 감축에 나서는 등 비상 경영을 진행하고 있다. 무신사 측은 ▲임직원 대상 일회성 주식보상비용 413억원 지급 ▲인건비 및 감가상각비 증가 ▲지급수수료 증가 등 영업비용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자회사를 제외한 무신사의 개별기준 실적은 매출 8830억원, 영업이익 371억원을 달성했다. 무신사의 개별기준 실적에는 패션 플랫폼 무신사와 의류 자체브랜드(PB) '무신사 스탠다드', 온라인 편집숍 '29CM'의 실적만이 포함된다. 다만 개별기준 영업이익도 전년도와 비교해 40% 감소했는데, 이 역시 임직원에 대한 일시적인 주식 보상 비용이 발생한 영향이라고 무신사는 설명했다.
무신사는 수익성이 대폭 쪼그라들면서 창업자의 '책임 경영' 카드를 꺼내 들었다. 무신사는 지난달 이사회를 열고 창업자인 조만호 이사회 의장을 총괄대표직으로 선임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조 의장은 2년9개월여 만에 경영 일선에 복귀했다.
앞서 조 의장은 2021년 6월 무신사의 쿠폰 발행 남녀 차별과 이벤트 이미지의 '남성 혐오 논란' 등에 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물러났다. 무신사는 사업부를 글로벌&브랜드와 플랫폼 사업부로 나눠 각자대표를 두기로 했는데, 조 총괄대표는 두 사업부의 유기적 성장을 끌어내는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카카오스타일도 적자 행진…실속 챙긴 에이블리
또 다른 패션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스타일도 지난해 연결기준 19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1650억원으로, 전년(1018억원)보다 62%가량 늘었지만, 적자에서는 벗어나지 못했다. 다만, 518억원에 달했던 적자 규모를 198억원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다. 카카오스타일은 패션플랫폼 지그재그와 패션바이카카오, 포스티 등을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스타일도 신사업에 대한 투자로 인해 영업적자가 발생했다. 40대 이상 시니어 고객을 겨냥한 신규 플랫폼 '포스티(Posty)' 등에 투자를 진행하며 손실이 난 것이다. 주력 플랫폼인 지그재그는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2019년 이후 4년 만에 흑자를 달성했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분기 기준은 지난해 4분기 전사 영업이익을 냈다고도 설명했다.
에이블리는 패션 플랫폼 3사 중 유일하게 흑자를 기록했다. 에이블리는 지난해 연결기준 33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에이블리는 전년도에 기록한 744억의 적자에서 벗어나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 역시 259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5.4% 뛰었다.
에이블리는 지난해 남성플랫폼 '4910'과 일본 패션 앱 '아무드' 등 신사업을 진행했지만 수익성 방어에 성공했다. 에이블리 관계자는 "사용자 수가 늘면서 확보한 이용자 데이터를 통해 효율적인 사업 운영이 가능했다"며 "사용자를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추천 기술로 연결하면서 매출 및 거래액 성장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에이블리는 지난해 패션 전문몰 중 가장 많은 월간 활성 이용자수(MAU)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에이블리의 지난달 MAU는 805만명을 집계돼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패션 전문몰 앱에 올랐다. 무신사는 676만명을 기록해 2위를 기록했다. 그 뒤를 지그재그(327만명), 퀸잇(193만명), 29CM(148만명), 크림(148만명) 등이 이었다.
다만, 결제추정금액 분야에서는 여전히 무신사가 앞섰다. 같은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패션 전문몰 앱의 결제추정금액은 무신사가 1767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지그재그(690억원)와 에이블리(595억원)가 이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