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보고서
팬데믹 이후 제품 가격, 6개월에 한 번 바뀌어
가격 ‘많이’ 늘리기보단 ‘자주’ 늘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들이 과거보다 가격 인상을 더 자주 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물가 시기에 기업의 가격 인상 빈도가 높아지며 물가상승률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1일 발간한 ‘BOK 이슈 노트: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을 보면 국내기업은 팬데믹 이후 가격조정 빈도를 크게 늘렸다. 가격조정폭(인상·인하율)은 팬데믹 이전과 큰 변화가 없었다. 이외에도 기업들은 할인 등의 일시적 가격조정을 늘리거나 품목별로 가격조정 빈도를 조절하면서 고물가에 대응했다.
6개월에 한 번 가격 올리며 인플레 대응…할인 늘리기도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 기간, 국내 기업들은 6개월에 한 번 가격을 조정했다. 국내 제품의 기준가격 조정 빈도는 기존(18~21년) 월평균 11% 수준에서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 기간(22년~23년) 중 15.6%로 크게 상승했다. 상품 가격이 평균적으로 유지되는 기간이 기존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되었다.
미국 등 해외 주요국도 같은 기간 가격조정 빈도를 늘렸다. 미국의 경우 약 4개월에 한 번 가격을 조정했다. 미국의 가격조정 빈도는 팬데믹 이전 10%대에서 이후 20%를 웃도는 수준까지 늘어났는데, 2022년 중반 이후 빈도가 줄어 우리나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반면 제품가격의 인상·인하율은 팬데믹 전후로 큰 변화가 없었다. 2019년 이후 국내 생필품 가격 인상률은 1회당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 범위에서 유지되고 있었다.
할인 등 일시적 가격조정을 포함한 가격조정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참고해 저자가 시산한 결과, 기존(18~21년)에는 인상 빈도가 13%, 인하 빈도가 약 14%에 머물렀지만, 고인플레 시기(22~23년)엔 인상과 인하 빈도 모두 16~18% 수준을 보였다.
또 동일 상품에 대해 판매처별로 가격 편차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생산, 유통기업들이 고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가격 인상 빈도를 높이는 동시에 소비자의 수요변화, 재고상황에 따라 일시적으로 가격을 조정해 대응했음을 의미한다.
가격조정 빈도는 품목별로도 차이를 보였다. 주류는 가격이 경직적으로 조정되는 반면, 음료나 조미료는 좀 더 유연하게 조정됐다. 팬데믹 전후로 비교해 보면, 수입원재료 비중이 높아 2022년 이후로 비용 인상 압력이 높았던 품목을 중심으로 가격 인상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동재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과장은 "고물가 시기에 기업들이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이나 미감도, 경쟁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 시 '폭'보단 '빈도'를 조정함으로써 물가상승률과 가격 인상 빈도 간에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유가 충격이나 복합 위기 발생 시 물가에도 큰 영향
유가 상승 등 비용상승을 압박하는 충격의 크기가 커질 경우, 물가상승률이 더 큰 폭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유가와 펜트업 소비 등 서로 다른 충격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도 개별적인 충격이 발생했을 때보다 물가상승률이 확대됐다.
또 인플레이션 수준이 높아질수록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률이 4~5%로 높은 시기엔 동일한 충격에도 인상 빈도가 늘어나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물가안정기에 비해 크게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장은 "최근 물가상승률이 3%를 소폭 상회하는 상황이라 기업들의 가격 조정 행태도 아직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지 않은 상황이다"며 "앞으로도 분절화, 지정학적 갈등, 기상이변 등 크고 다양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