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흡연 관련 조사 결과
매일 흡연율 15.4%…하락폭 男 두드러져
우리나라 15세 이상 국민 중 담배를 피우는 사람의 비율이 최근 10년 사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21년 현재 15세 이상 우리 국민의 매일 흡연율은 15.4%인 것으로 조사됐다. 매일 흡연율이란, 평생 일반담배(궐련)를 100개비(5갑) 이상 피웠고, 현재도 매일 궐련을 피우는 사람의 비율을 뜻한다. 2021년 15세 이상 인구의 매일 흡연율은 10년 전인 2011년(23.2%)보다 7.8%포인트 내렸다.
2014년까지만 해도 15세 이상 우리 국민 10명 중 2명은 매일 담배를 피웠다. 하지만 이듬해부터는 매일 흡연율이 20%를 밑돌았고, 2017~2018년(17.5%) 정체를 겪다가 2019년(16.4%)부터는 매년 조금씩 낮아지고 있다.
매일 흡연율의 하락 폭은 남성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그만큼 남성 흡연자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는 뜻이다. 2021년 15세 이상 남성의 흡연율(26.3%)은 여성(4.5%)의 6배 가까이 되지만, 10년 전에 견줬을 때 하락 폭은 남성(-15.3%포인트)이 여성(-0.6%포인트)보다 훨씬 컸다.
지금 뜨는 뉴스
질병청은 흡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 위험에 대해서도 짚었다. 흡연을 하게 되면 ▲폐암 ▲식도암 ▲췌장암 ▲위암 ▲대장암 ▲자궁경부암 등 각종 암 외에도 ▲심근경색 ▲허혈성 심질환 ▲뇌졸중 ▲천식 ▲결핵 등의 위험을 키운다. 더구나 금연 후 짧게는 10년, 길게는 20년이 지나야 폐암이나 췌장암 등의 발생 위험이 비흡연자와 비슷해지기 때문에 하루라도 일찍 담배를 끊는 것이 좋다.
●매해 다짐하는 금연, 금단 증상 극복법
- 흡연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이 정확한지, 금연 진료 및 상담과 교육자료 등을 통해 체크해보는 것이 좋다.
- 금연이 필요한 이유와 금연하지 않았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일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일기 형식으로 적어본다.
- 초기 단계일수록 주치의를 만나거나, 가까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주기적으로 찾아 짧은 중간점검을 자주 반복한다.
- 주변의 친한 친구, 직장 동료들로부터 독려, 지지 등 협조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된다.
- 왜 계속 흡연을 하고 있는지, 금연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생각해 본다.
-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면 본인이 새롭게 알게 된 점, 잘못 알고 있었던 점을 종이에 정리해보거나, 가족들과 함께 이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격려 받는 시간을 가진다.
- 보상이 될만한 무언가를 작은 것이라도 미리 정해두고 시작한다.
- 실제로 담배를 다시 피우게 됐을때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미리 방안을 생각하여 이를 스스로 종이나 스마트폰에 직접 적어 놓는 것도 도움이 된다.
- 금단 증상이 심할 경우 약물·금연보조제의 도움을 받아 니코틴 금단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자료: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기헌 교수>
고기정 인턴 rhrlwjd031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