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바키아(Wolbachia) 박테리아(균)'는 선충류와 절지동물에 공생하는 대표적인 기생균이다. 볼바키아 균은 선충류나 절지동물과의 공생 없이는 번식이나 생존이 불가능한 종이 많고 주로 숙주의 정소나 난소에 가장 많이 감염된다.
1924년 미국 미니애폴리스의 마샬 허티그(Marshall Hertig)와 하버드 의대의 시므온 버트 볼바키(Simeon Burt Wolbach)가 큘렉스 피피엔스 모기에서 볼바키아 균을 처음 발견했고, 시므온 버트 볼바키의 이름을 따 볼바키아로 명명됐다.
그들은 평소 절지동물 사이에 널리 퍼져있는 세포 내 기생 세균인 '리케차(Rickettsia)'라는 미생물을 연구하다 모기의 난소와 정소만을 감염시킨 세포 내 세균을 관찰했다. 그러나 이 세균은 볼바키가 연구하던 로키산홍반열 등의 원인균인 리케차와 유사해 질병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조사돼 무시됐다가, 12년이 지난 1936년 허티그가 이 균을 재조명하면서 알려지게 된다.
볼바키아 균은 감염된 성숙한 난자에서는 항상 발견되지만, 성숙한 정자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감염된 암컷만이 자손에게 자신의 볼바키아 균을 전달 할 수 있다. 주로 감염된 암컷의 알을 통해 자손으로 전달된다. 이런 볼바키아 균의 특성을 이용해 자연에 방사, 각종 바이러스를 옮기는 모기 퇴치에 활용된다.
2017년 11월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바이오 벤처기업 모스키토메이트사에서 개발한 유전자 조작된 볼바키아 균을 감염시킨 수컷의 자연 방사를 허용했다. 방출된 수컷은 자연의 야생 암컷과 교배해 알을 낳아도 부화하지 않는다. 또 볼바키아 균에 감염된 암컷 모기가 알을 낳으면 태어난 모기들도 볼바키아 박테리아에 감염된다. 종국에는 볼바키아 균에 감염된 모기만 남아 뎅기열(Dengue fever), 황열(Yellow fever), 지카(Zika) 등의 바이러스를 옮기는 야생모기는 점점 사라지게 된다.
비영리 기구인 '세계 모기 프로그램(WMP)'은 뎅기열 등의 예방을 위해 호주·브라질·콜롬비아·인도네시아·베트남 등의 일부 도시에서 소규모로 볼바키아 균 감염 수컷 모기 방출 실험을 지난 10여년간 진행해 모두 성공했다. 가장 대규모로 진행된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 실험에선 뎅기열 발병률을 77%가량 줄였다. 2016년 미국 캘리포니아의 한 카운티에서도 볼바키아 균 감염 모기를 방사해 모기 개체 수를 95%가량 감소시켰다.
24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포스트 등에 따르면 발리 정부는 WMP와 함께 볼바키아 균에 감염된 모기알 2억개를 방사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지난해 13만1000명이 넘는 뎅기열 환자가 발생했으며 1135명이 사망했다. 올해도 10월 말 기준 전국에서 6만9000명의 뎅기열 환자가 보고됐으며 약 500명이 사망했다.
인도네시아 보건부는 "올해 우리는 중부 자바 세마랑과 동부 칼리만탄 본탕, 동부 누사가라 쿠팡 등 세 도시에 볼바키아 모기를 방생했다"면서 "내년에는 서부 자카르타와 서자바 반둥에서도 볼바키아 프로젝트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발리 주민들은 볼바키아 모기 방출을 반대하고 있다. 모기들이 대거 방출되면서 개체 수가 급증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인기 관광지인 발리에 모기떼가 급증하면 관광객들이 불편해해 관광 수입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